▲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실현에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선정하고 이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진규 제 1차관은 1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소재분야의 산업계·학계·연구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고 17일 밝혔다.
미래소재란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재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 하는 원천소재다. 미래소재 기반의 하드웨어 요소 없이는 AI, IoT, 로봇 등의 고도화에는 한계가 있어 4차 산업혁명 실현에 필요한 소재들이다.
미래소재를 선점하는 국가가 4차 산업혁명의 진정한 승자라고 할 수 있다. 소재 원천기술 개발은 상용화까지 20년 이상 소요되고 성공 가능성은 낮으나 개발 성공 시 신시장 창출 및 장기간 시장선점이 가능하다.
산·학·연 전문가들은 미래소재가 4차 산업혁명의 경쟁을 촉발할 것이며 선제적으로 원천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의견을 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경쟁’의 원동력이 미래소재 라는 인식하에 미래사회 대응을 위해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마련했다.
학·연 100여명의 소재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초연결 사회를 위한 스마트 소재(8개) △초고령 건강사회를 위한 웰니스 바이오 소재(9개) △환경변화 대응소재(5개) △안전소재(8개) 등 4개 분야의 핵심적으로 필요한 30개 미래소재를 도출했다.
선정은 △미래요구 중요도 △미래요구 해결 기여도 △미래원천성 △국내 연구개발(R&D)역량 △글로벌 리딩 가능성을 기준으로 했다.
정부는 도출된 미래소재의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도전형·경쟁형·지식크라우드형 R&D 방식을 도입한다.
소재분야가 고위험·장기 R&D임을 고려해 ‘공공투자’를 원칙으로 하되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업 참여를 유도하는 ‘미래가치 사전공유제’를 도입하고 우수한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연구단계 중간에 진입할 수 있는 중간진입형·경쟁형 R&D를 도입해 원천기술 개발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미래소재 원천기술 난제에 대한 연구도 지원할 예정이다.
더불어 소재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의 연구개발(미래소재 연구데이터 플랫폼)과 복합물성 특성분석 및 신뢰성 검증 지원(측정분석 플랫폼)을 위해 미래소재 연구기반도 구축한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 1차관은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혁신적 미래소재 기반 없이는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며 4차 산업혁명 경쟁은 소재경쟁이 될 것”이라며 “연구자들의 시행착오 최소화로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소재연구 인프라 구축에도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