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의혹들⋯정 부회장의 ‘혁신’ 리더십에 악영향 없어야...

▲ 지난해 8월 24일 스타필드고양에서 열린 오픈식에서 정용진(왼쪽 세번째)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노철중 기자]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해왔다.


신세계그룹의 마트부문 사업을 맡으면서 노브랜드·피코크 등 이마트의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개발해 성공으로 이끌었고, 비록 편의점 업계 후발주자이기는 하지만 ‘이마트24’를 론칭해 공격적으로 매장 수를 확장하고 있다.


복합쇼핑몰 스타필드도 2016년 하남점 오픈을 시작으로 같은 해 12월 코엑스몰을 오픈했다. 지난해 8월에는 3호점인 고양점을 오픈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청라, 안성, 창원, 청주 등에 출점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갈 수 없는 총수 일가 비리 문제


그러나 정용진 부회장도 다른 총수 일가처럼 일감몰아주기 의혹을 받는 적이 있다. 2012년 10월 4일 경제개혁연대는 정 부회장을 검찰에 고발한다. 이에 앞서 당시 공정거래위원회는 신세계가 빵집 계열사인 ㈜신세계SVN 및 조선호텔에 판매수수료를 과소 책정하는 방법으로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혐의로 시정명령과 함께 총 40억61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신세계SVN은 정 부회장의 동생 정유경 현재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이 40% 지분을 가지고 있던 회사였다.


경제개혁연대는 신세계에만 과징금이 부과되고 이를 주도한 정 부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에게는 아무런 제재 조치가 없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정 부회장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것이다. 정 부회장을 비롯해 당시 최병렬 대표, 허인철 경영지원실장 등을 함께 고발했다.


그러나 검찰은 정 부회장을 뺀 허인철 대표이사와 신세계 임원 2명의 혐의만 인정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을 요청했다. 이는 공정위만 공정거래법에 대한 고발 권한을 가지는 전속고발권 제도에 따른 것이다.


당시 경제개혁연대 소장이었던 김상조 현 공정거래위원장은 “검찰은 애초부터 정용진 부회장을 사법처리 할 계획이 없었고 이는 명백한 봐주기 수사”라고 강력하게 비판했었다.


김 위원장이 이렇게 정 부회장이 일감 몰아주기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 근거는 공정위 조사 과정에서 드러난 신세계SVN의 회의록 때문이었다. 회의록에는 정 부회장의 지시가 있었다는 암시를 담은 문구가 있었던 것.


재벌家 상속·증여 문제 의혹 받은 신세계⋯이명희 회장 차명주식 논란


▲ 이마트 성동구 본사 입구.

2015년에는 정 부회장의 어머니이자 신세계 회장인 이명희 씨가 차명주식 의혹을 받았다. 흔히 차명주식(명의신탁)은 기업 비리와 관련이 있다. 특히, 상속 및 증여와 관련해서 세금 탈루 의혹을 받을 수 있다.


2015년 11월 6일 신세계는 이명희 회장이 전·현직 임직원 명의로 돼 있던 차명주식 38만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830억원을 실명으로 전환하고 공시한다.


이후, 18일 새정치민주연합 재벌개혁특별위원회 박영선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계속되는 추궁에 신세계가 더 이상 감추지 못하고 실명 전환한 것”이라며 국세청이 ‘재벌 봐주기’를 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었다.


당시 신세계 측은 차명주식의 출처에 대해 “이병철 회장으로부터 받은 차명주식을 2006년에 세금을 내고 실명으로 바꿨는데, 그때 누락된 부분이 있어 자진 신고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20~30년 전에는 관행적으로 경영권 방어를 위해 명의신탁 형태로 차명주식을 많이 만들었다”고 해명했었다.


결국, 국세청은 세무조사를 벌인 결과, 이명희 회장에 증여세 700억원을 부과했다. 또한, 신세계그룹 법인과 정용진 부회장 등 총수 일가에 부과된 추징금 액수가 2000억원대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줬었다.


당시에도 검찰 고발 없이 지나가 ‘재벌 봐주기’ 논란이 일었었다. 일각에서는 신세계 측의 설명처럼 이명희 회장의 차명주식이 아버지인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으로부터 받은 것인지 아니면 2006년 이후 새로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없다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차명주식 문제는 재벌가가 안고 있는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다 엄정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의혹들은 아직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단지 의혹에 그치는 것이라면 참 좋은 일이다. 이런 문제들이 미결된 상태인 이상 앞으로 어떤 의혹들이 불거져 나올지도 모른다. 최근 불거진 대한항공 사태에서처럼 알 수 있듯이 이른바 ‘오너 리스크’는 오너 자신 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 구성원들, 나아가서는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총수 일가의 도덕성과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이 재계의 필수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계속>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