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일대에 한 농가. 노지 작물의 경우 기상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날씨가 한층 더워진 9일, 전국 일대 오후 2시 평균 20℃가 넘었다. 최근 봄비도 잦아 겨울가뭄도 끝나 봄,여름 작황에 크게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지난 4월 7일부터 8일 전국적으로 이상저온 현상이 일어나 과수농가의 큰 피해가 났다. 이상저온은 개화기 최저기온이 평년 4.7~8℃에서 -5~–1℃로 내려가는 현상으로 개화중인 과수 등 농작물 6121ha(4월 17일 기준 잠정)에 저온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크기는 서울 크기인 5만ha의 8분의 1에 달한다.


작물별 피해는 과수 5046ha로 가장 많고 특용작물 762ha, 전작물 194ha, 채소 119ha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의 경우 배꽃의 암술이 고사(얼어 죽음)해 수정불량으로 결실률(結實率)이 낮아질 염려가 생겼다. 감자의 경우 지난해 겨울 지독한 한파의 영향으로 수급량에 차질이 생겨 가격이 급등한데다 이상저온 현상까지 겪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18일 “이상저온 현상으로 7~10일 정도 생육지연과 수량이 감수할 수 있으나 피해면적이 183ha로 재배면적 1만5300ha의 1.2%수준으로 매우 미미해 수급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지난주 무 도매가격은 개당 2681원으로 평년가격인 1264원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급등했다. 지난해 겨울 한파가 지속돼 작황부진이 심해진면서 겨울무 저장량이 평년 대비 60% 이상 감소했기 때문이다. 겨울무의 공급부족으로 하우스 등 시설에서 재배되는 봄무가 출하될 이달 중순 이후까지 물량공급이 떨어졌다.


매해 특정작물의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정부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물량을 시중에 공급하거나 수급제한을 두고 있지만 이런 노력에도 농식품 가격을 잡는 것은 수요에 비해 역부족이다.


실제로 경기도 일대에 한 농장을 방문해 취재한 결과 농민들도 불만이 많다. 경기도 일대에 농가를 2개 운영중인 A씨(67,남)는 “어떤 품목이 품귀현상이 생기는 것은 농가의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 기상문제나 소비자의 소비문화의 변화인데 그것을 농가에 책임을 돌리려는 느낌이 든다”며 “사실상 수급문제 대부분이 기상의 문제인데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스마트팜같이 실내에서 작물을 키워내기 어렵다. 대부분이 영세업자기 때문에 투자가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라고 말했다.


매번 수요를 못따라가는 수급에 대해선 “FTA나 수출을 통해 해결하면 농가입장에선 반대가 크고 국민 정서에도 맞지 않아 자체적인 해결을 위해선 결국 농업쪽도 영세업자들을 도울 수 있는 것은 농업법인화를 통해 공장처럼 대량생산하고 수급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근 농가를 운영중인 B씨는 “21세기인데 아직도 농업은 근대적인 방법이다”며 “기계화를 통해 생산량이 많이 늘었다 해도 결국 사람의 노동력이 아직도 너무 많이 드는 것은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최근 최저임금도 올라 농가를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첨단 장비를 도입해 노동력을 줄이고 싶지만 투자가 겁이난다”고 말했다.


수급 문제에 대해선 "수급이 어려워 가격이 많이 올라가면 이득을 많이 볼수도 있지만 반대로 작황이 호황일때 빚지고 농사를 하는 해도 부지기수다"며 "농사가 잘돼도 걱정이고 안되도 걱정인게 농사일"이라고 토로했다.


현재 기상문제로 생산량이 늘거나 줄어버리는 수급문제에 대해 정부 입장에선 뾰족한 수가 없다. aT한 관계자는 “정부차원에서 매년 수급안정과 수급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어렵다”며 “수입산 농식품의 대한 경계심도 있고 시설투자로 스마트팜을 조성하면 좋겠지만 기상에 영향을 많이 받는 노지작물의 경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현 수급안정 정책과 재배면적 권고를 하는 것 이외에 현실적인 방법은 농가와 정부 부처가 유기적으로 협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수급문제 #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