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용 드론.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드론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적인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농업용 드론이 농촌의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등에 대한 획기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업 관련 기관들은 일제히 드론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농가를 찾아 드론방제 시범을 보이는 등 농업용 드론산업 육성에 힘쓰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6년까지 세계 드론시장이 820억달러(약 88조원)까지 몸집을 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에서도 약 50%가 농업용 드론에 의한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드론은 절대적으로 향후 우리 농업에 없어서는 안 될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다.
중국산 드론의 성능과 가격에 뒤처지는 국내산 드론

우리정부와 지자체는 농업용 드론의 구매 지원금과 금융 프로그램 등을 내세우며 드론 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다만 정작 구매 주체인 농민들은 중국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 국내산 드론의 성장이 부진한 현실이다. 중국산 드론의 저렴한 가격과 높은 성능을 따라가기에는 우리 드론업체들이 영세한 수준이어서 글로벌 시장의 기술혁신 속도에 뒤쳐진다는 지적도 있다.

현재 우리 농업용 드론시장은 중국산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농업용 드론의 90% 가까이가 중국 등에서 수입해 온 제품들로 넘쳐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드론업체가 중국의 디제이아이(DJI)인데 국산 농업용 드론은 4000만~6000만원선에 달하지만 DJI의 모델들은 2000만원선에 구입할 수 있다. 성능은 둘째치고 가격에서 2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에서 상대가 안되고 있다.

국내 드론업체들은 중국산 부품을 수입해 조립하는 영세 업체가 대부분이며 충돌감지, 회피 등 드론에 있어서 핵심 기술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어려운 농업 현장에 맞는 합리적인 가격 정책을 반영한 제품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이를 충족시키기에는 기술력, 부품단가 등의 벽이 높다.

한 드론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국산 드론이라고 표현하기도 어렵다”며 “국산이라고 하면 기계에 우리 자체 부품이 80% 이상 들어가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이마저도 힘들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에서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더욱더 적극적으로 드론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해주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의 혈세로 중국 드론을 지원한다는 주장 제기

한편에서는 정부가 드론 산업의 육성에만 몰두해 지원금을 ‘남발’하고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국비를 사용해 중국 드론의 구매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지난 4월26일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농업용 드론 불공정 행위와 국비유출’이라는 청원이 게시됐다.

청원인은 “시·군에서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며 보조금을 지출해 수입산 드론이 농업현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사태를 초래하고 있다”며 “농림보조(국비·지방비) 사업에 농업기계공급 관련해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국내 직접생산이 확인되는 제품으로 물품을 공급해 국민의 혈세 낭비를 막아주시길 바랍니다”라고 전했다.

또 지난 5월 16일 ‘뉴시스’는 수입산 농업용 드론이 수입원가 대비 평균 400% 높은 가격에 판매·공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드론 수입신고 필증’을 확인한 결과 지자체 보조금 지원 사업으로 농가에 공급 중인 중국 A사 모델의 경우 수입 원가가 4250달러(약 460만원)지만 농가에는 이에 약 4배 가량 높은 가격인 1850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지자체는 농민들에게 이러한 높은 가격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로 드론 구매비용의 5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어 ‘업자 배불리기’와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고 밝혔다.

드론업체·전문가들은 끊임없는 지원을 해결책으로 제시

드론 관련 업체들과 전문가들은 이처럼 중국산 드론의 막강한 영향력으로 인한 시장점유율과 이에 따라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연구·개발’ 지원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대다수 업체들은 “따라가기만 바쁜 상황을 뒤집으려면 드론 선진국에 걸맞는 지원을 정부에서 해줘야 더 전문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추가지원이 절실하다. 개발비용과 인력을 추가해 더 전문적인 연구를 한다면 국산 드론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