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용 트랙터. (기사와는 관련없는 사진)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일손부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팜, 청년농업인 등 다양한 개선방안이 나오고 있지만 유독 밭농업의 기계화율은 증가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지난 5월 파이터치연구원이 발표한 ‘농업의 한국형 6차 산업화 모델 구축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농가의 고령화율은 40.3%로 전체 인구 고령화율(13.2%)의 약 3.3배에 달했다. 즉 농촌 인구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자란 것이다.
이처럼 농민들의 나이가 점차 들어감에 따라 노동력이 줄어들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농업의 기계화가 뜻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기계화는 상당한 발전을 이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벼농사 기계화율은 지난 2014년 94.1%에서 2016년 97.9%까지 상승했다. 반면 밭농사 기계화율은 지난 2010년 50% 대에 진입한 후 2017년까지도 58.3%에 그치고 있다. 약 7년간 50%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밭농업에서 파종·정식·수확 작업의 기계화율은 몹시 초라한 모습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파종·정식작업의 기계화율은 8.9%, 수확작업은 23.9%에 머무르고 있다.
밭농업의 기계화율 증가가 더딘 이유 중 하나는 지형이 불규칙하다는 점이다. 밭은 논처럼 경지정리가 된 곳이 적고 비탈진 곳이 많아 농기계 운행이 쉽지 않다. 또 밭농업을 하는 농가들은 재배작물이 다양하고 경영규모가 영세할 뿐 아니라 지역마다 재배방법이 달라 기계화 농업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밭농업 농가는 경영규모가 워낙 작다보니 농기계 구매여력이 없고 농기계업체는 불규칙한 땅과 환경에 맞는 농기계를 연구·개발해야 하지만 수요가 없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떨어지고 있다. 정부가 농기계 수요를 만들어 농업 기계화율을 촉진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업체와 농민들 간의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현실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밭농업 기계화 촉진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3967억원을 투입해 밭농업 기계화율을 7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밭농업 기계 중 보급이 저조한 파종·정식·수확기를 작목반단위로 장기 임대해 농기계 수요와 공급을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재배면적이 넓은 고추·마늘·양파 등 10개 작목을 중점으로 기계화율 증가를 촉진할 계획이며 이미 개발됐지만 보급이 연계되지 않던 농기계의 성능 개선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로 기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물론 농업에도 이 기술들이 적용돼 많은 농가가 생산성 제고, 노동력 절감 등 이익을 보고 있지만 당장 농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기계를 개발·보급하는 것이 우리 농민들의 근심을 덜어줄 수 있는 가장 우선적인 과제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