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간첩 권총·수류탄 은닉장소 곳곳에 산재… 예멘 반군, 北서 무기 공급받아

 
▲ 중화기로 무장한 예멘 후티 반군.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우리나라 입국 뒤 난민신청을 했던 시리아인이 이슬람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조직원을 모집했던 것으로 드러나 ‘난민 위장 테러리스트’ 우려가 현실화됐다.

 

5일 인청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A씨(33)를 테러방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해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의하면 A씨는 지난 2007년 한국에 입국한 뒤 시리아 내전을 앞세워 난민신청을 했다. 인정이 거부된 뒤 인도적 체류허가를 받아 경기도 일대 폐차장 등에서 일하면서 본색을 드러냈다.

 

그는 작년 초부터 최근까지 평택의 한 폐차장에서 근무하면서 동료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IS 제작 추정 홍보영상을 보여주면서 조직원 가입을 권유했다. 경찰은 작년 해외정보기관과의 공조로 첩보를 입수하고 장기수사한 끝에 A씨를 지난달 체포했다.

 

휴대전화 위치정보 추적 결과 A씨는 한국 입국 후에도 시리아 등 중동지역을 자주 오간 것으로 드러났다. 체포 당시 A씨 소유 차량에서는 폭발성 물질이 다수 발견됐다.

 

A씨 차량에서 부탄가스 등 비교적 낮은 화력의 조잡한 폭발성 물질이 발견된 건 한국의 지리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곳곳에 이슬람무장세력이 존재하는 중동지역과 달리 한국은 비(非)이슬람권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다. 때문에 무기 공급처가 마땅치 않다. 이슬람무장세력과의 연계는 곧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에 의한 ‘파멸’을 의미하기에 동북아 조직폭력단도 이들과의 거래를 꺼리고 있다. 게다가 IS는 과거 북한인 의사 납치 등을 벌인 바 있다.

 

하지만 현재 제주, 인천 등에 머물며 난민 인정을 요구하는 한편 서울로의 이동을 원하는 예멘 난민 중 존재 가능성이 드러난 ‘후티’ 반군은 IS와 다르다.

 

본지는 지난달 28일 예민인들 중 시아파 무장조직 후티 조직원이 섞여있는 정황을 단독보도한 바 있다. 유엔안보리에 의하면 후티는 북한과 ‘핵·미사일 커넥션’으로 엮인 이란으로부터 73식기관총 등 북한산 무기를 공급받고 있다. 반면 이들과 교전 중인 예멘 정부군, 사우디군에는 현궁 대전차미사일 등 한국산 무기가 제공되고 있다.

 

6일 정보당국 관계자는 “지금도 전국에서 드보크(dvoke)가 발견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어인 ‘드보크’는 북한 남파간첩이 스스로 활용하거나 고정간첩에게 권총, 수류탄, 독총 등 무기류나 통신장비, 공작비를 전달할 목적으로 마련하는 ‘무인함(무인포스트)’을 뜻한다.

 

주로 야산이나 공원 바위 밑에 설치한다. 때문에 정보당국은 간첩 의심자 식별방안 중 하나로 ‘야산에 삽 들고 등산하는 사람’을 꼽고 있기도 하다. 버스터미널 물품보관함 등 ‘기상천외’한 곳에 마련하기도 한다.

 

드보크는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적발사건이 언론에 수시로 보도됐으나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에는 지금까지 대중에 거의 공개되지 않고 있다. 근래에는 “요즘 세상에 간첩이 어딨나” 등 인식이 퍼지고 있으나 존재 여부는 분명하다.

 

작년 12월 호주 경찰은 북한산 탄도미사일 부품, 석탄 해외밀수를 중개한 한국계 호주인 최모(59)씨를 기소하기도 했다. 닐 고건 연방경찰 부청장은 기자회견에서 최 씨를 “북한에 충성하는 간첩(loyal agent of North Korea)”으로 규정했다.

 

해외인 호주에서도 북한 간첩이 암약하는데 ‘주 타깃’인 한국 내에 간첩이 없을 리 없다는 게 전문가들 중론이다. 북한은 지금도 대남공작 기구인 ‘정찰총국’을 운용 중이다.

 

실상 미국-영국, 북한-중국·러시아 등 우방국 사이에서도 간첩 파견은 암묵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이다. 대사관에 상주하는 ‘공식스파이’는 화이트(white), 비밀리에 활동하는 스파이는 ‘블랙(black)’으로 호칭한다. 지난 2016년 3월5일 스푸트니크통신 보도에 의하면 러시아 연방이민국은 톰스크주(州) 사무스마을에 비밀잠입한 북한인들을 추방하기도 했다. 사무스마을은 비밀도시 시베르스크(옛 톰스크-7)에 소재한 곳으로 출입허가증이 필요하다.

 

 
▲ 북한 남파간첩 무기 은닉장소인 ‘드보크’ 중 상당수가 미발견 상태인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1997년 간첩 최정남 검거 사례를 보면 드보크는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 도심에도 곳곳에 은닉돼있다. 최정남은 진술에서 △서울 관악구 봉천8동 장군봉체육공원 정상 벤치 부근 바위 밑 △관악산 등산로 바위 밑 △관악산 중턱 △서울대입구 등산로 바위 밑 △경주 하동 민속공예촌 부근 야산 △경주 시외터미널 물품보관함 △강화도 마니산 부근 묘소 비석 부근 등에 권총, 소음기, 실탄 등을 숨겼다고 밝혔다.

 

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는 “부여침투간첩 김동식 사건 때 7곳, 남한노동당 사건 때 8곳을 합치면 지금까지 23곳의 드보크가 발견됐으나 북한의 대남침투가 계속된 점을 감안할 때 전국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드보크가 산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불과 작년만 해도 부산 감천항 어선, 전북 남원 야산 및 군산 주택, 서울 은평구 진관동 버스정류장, 서울 마포구 주택가 휴지통 등에서 권총과 실탄이 줄줄이 발견됐다.

 

예멘 난민 중 한국에 적대적인 후티 반군 조직원 존재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이들이 서울 등 내륙으로 오려는 이유도 짐작될 수 있다.

 

이들로서는 이란의 중개로 북한과 접촉하거나 북한과 직접 연락하는 방식으로 내륙의 드보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북한과 척을 진 터라 ‘부탄가스’ 무장이 한계인 IS와 달리 후티 반군은 ‘권총’ ‘수류탄’으로 무장할 수 있는 셈이다.

 

만약 이들이 화기로 무장하고 ‘수도’ 서울 시내 백화점, 국회의사당 등 공공장소에서 테러나 인질극을 벌일 경우 그 피해규모는 상상할 수조차 없다. 과거 본 기자는 한 탈북단체장을 경호하던 경찰 보안과 직원이 실탄 장전 권총을 허리에 찬 채로 국회의사당 탐색기를 무사통과한 뒤 허탈한 웃음을 짓던 모습을 목격한 바 있다.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알라’를 위해 ‘이교도’를 죽이고 자신도 죽는 것을 ‘천국행 티켓’으로 여기기에 자살테러를 ‘영광’으로 생각한다. 자폭 과정에서 테러리스트와 사용무기가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경우 북한은 자신들이 연관됐다는 증거를 완벽히 없앨 수 있다. 북한은 1987년 대한항공기공중폭파테러 때도 김현희(전향) 등에게 자살용 독약앰플을 줘 증거를 인멸하려 했다.

 

아직 드러난 증거는 없어 신중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지만 일부 예멘인들에 의한 테러, 강력범죄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난민 수용 후 각종 테러, 범죄에 시달리다 근래 수용입장을 잇따라 철회하고 있는 유럽 등 전세계 추세에 한국만 역행하려 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홈페이지 청원게시판에 오른 관련 청원에는 6일 역대 최다인 63만1922명이 서명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늦어도 내달 13일까지는 답변을 내놔야 한다.

 

청와대는 법무부에 책임을 미루고 있다. 김의겸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법무부에서 지난주 금요일 발표한 내용으로 난민 처리에 있어서 그 정도의 대책을 갖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며 “그 외 더 큰 대책, 그림을 원하시는 것 같은데 아직까지는 그런 구상은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 중순에는 청와대가 예멘 난민 반대 청원을 돌연 삭제해 물의를 빚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6일 “(문재인 대통령이) 찬성도 반대도 아닌 모호한 태도로 일관하는 건 사회적 우려, 갈등만 더 증폭시키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제주도 예멘 난민 문제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금까지 박원순 서울시장, 배우 정우성 등은 수용 찬성 입장을 나타냈다.

키워드

#난민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