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예시). (자료=농림축산식품부)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정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에 8개 지방자치단체가 달려들며 활기를 띄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달 초 2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지만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일부 농업계의 반발이 거세다.
농식품부는 지난 4월23일부터 7월13일까지 3개월동안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유치할 2개 시·도를 공모한 결과, 총 8개 지자체가 참가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강원도와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도 등이 신청 서류를 제출한 가운데 농식품부는 이달 말까지 서류 검토와 현장 답사 등을 마치고 내달 초 2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규모화·집적화, 청년창업, 기술 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모두 갖춘 일종의 산업단지다. 혁신밸리에는 창업농 보육센터, 청년임대농장, 농기자재 연구·개발에 필요한 실증단지, 배후농공단지, 스마트APC 등이 갖춰질 예정이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권역별로 총 네 곳을 선정해 한 곳당 1800억원, 총 7200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난해 말 4010ha였던 국내 스마트팜 보급 규모를 오는 2022년까지 7000ha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 PC를 통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지능화 농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으로 농업·농촌에 청년이 유입되고 농업과 전후방산업의 동반성장을 이루는 혁신모델 창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취지와는 다르게 기존 농업인들의 반발이 거세다.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일부 농업계에서는 과잉생산에 따른 농산물 가격 폭락, 기존 농가 배제 등의 이유로 혁신밸리 조성을 우려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지난 9일 성명서를 통해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전농은 “스마트팜 밸리에서 생산된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가 수출 시장 개척이 안되면 국산 농산물과 경쟁하게 된다”며 “주요농산물 공공수급제 도입 없는 생산시설 확대 정책은 필연 실패할 수밖에 없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비, 지방비 포함 1조원 이상이 투여되는 대형 프로젝트에 농민들과 전문가들과의 공청회 토론회 한번 하지 않았다”며 “이는 참여와 토론을 중시하는 현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업 방식이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 밸리 조성사업은 농업계의 4대강 사업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농업생산을 통한 청년농 유입은 오간데 없고 건설사업자만 배불리는 사업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농은 “정부와 지자체는 전시행정, 예산대비 기대효과가 거의 없는 스마트팜 밸리 사업을 포기하고 주요농산물 공공수급제 도입으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과 농가소득 보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