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논란에도 ‘아니다’ 일관… 결국 국감 증인석으로

▲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배짱 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애플.


[투데이코리아=이준호 기자] 잦은 애플의 논란 중 첫째는 속칭 ‘떼마진’이다. 그것도 통상적인 ‘떼마진’의 개념을 뛰어넘는다는 게 중론이다.


작년 11월7일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트 보고서에 의하면 아이폰X의 마진율은 ‘60%’ 이상이다. 이 제품의 부품가격은 357.50달러인 반면 판매가는 999달러다. 마진율은 64%에 달한다.


타사 제품과 비교해서도 가격은 매우 높다. 아이폰X와 삼성전자 갤럭시S8의 원가 차이는 5만원에 불과하지만 판매가는 무려 30만원 가량 차이났다. 우리나라로 오면 가격차는 더 많이 난다. 아이폰X 출고가는 142만원으로 갤럭시S8(102만8000원)에 비해 39만2000원 더 비쌌다. 때문에 애플이 유독 한국 소비자만 ‘봉’으로 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렇듯 ‘돈을 쓸어담는’ 애플이지만 유통업체에 제공하는 마진은 ‘업계 최저’ 수준이다. 작년 11월 이코노믹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아이폰X 기준으로 제공되는 마진은 ‘4.5%’에 불과하다.


인도 전역에 400개 매장을 가진 휴대폰 유통업체 ‘산지타 모바일’의 수바시 찬드라 매니징 디렉터는 신문에 “애플이 소매업체가 가져가는 아이폰X 마진을 6.5%에서 4.5%로 30%나 삭감했다”며 “고객이 카드로 지불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마진은 거의 1.5~2%로 줄어든다”고 호소했다.


전세계에 판매망을 갖춘 애플이 유통업체 사정은 고려하지 않은 채 ‘배짱 장사’를 한다는 게 이 디렉터 설명이다. 삼성전자 등 타사는 12~15%의 마진을 제공한다. ‘산지타 모바일’은 결국 아이폰X 주문을 중단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소비자·유통업체를 대상으로 한 ‘갑질’이라는 비판을 애플은 강력부인했다.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은 포춘 인터뷰에서 “애플 제품에 마진은 별로 없다. 애플 제품에 프리미엄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건 옳지 않다”며 “우리 보다 훨씬 마진이 높은 기업이 많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상세한 근거는 대지 못했다.


▲ 공정거래위원회 철퇴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떼마진’ 이어 ‘소비자·소매업체 갑질’ 논란까지


애플은 타사에 대한 ‘광고비 전가 갑질’ 논란도 빚었다. 작년 11월 아이폰X 등의 출시에 맞춰 TV광고를 내보내면서 관련 비용은 애플코리아가 아닌 이동통신사 3사에 떠넘겼다는 것이다.


‘광고비 떠넘기기’ 정황은 이미 2년 전에 포착됐다. 지난 2016년 6월 공정거래위원회는 애플이 이통사에 광고비 등을 부담시키는가 하면 아이폰 무상수리 비용 일부도 부담토록 한 혐의로 애플 본사 현장조사 등에 나섰다.


공정위는 2015년 12월에는 수리업체 부품 주문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애플의 ‘갑질 AS’에 대한 직권조사도 벌여 제품수리계약서상 불공정약관을 모두 수정했다.


결국 올해 4월 공정위는 애플코리아에 과징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의견을 담은 심사보고서를 발송했다. 공정위는 보고서에서 애플코리아가 △구입 강제 △이익제공 강요 △불이익 제공 등 공정거래법상 불공정행위로 규정되는 ‘거래상 지위 남용 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했다. 애플 측이 내야 할 과징금은 천문학적 액수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애플코리아는 자신들에 대한 조사자료 열람·복사 요청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5월 공정위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김우진)는 이달 4일 원고패소 판결을 내렸다.


해외에서도 논란은 이어졌다. 올해 초에는 아이폰 ‘고의 성능저하’ 업데이트 의혹과 관련해 미 법무부가 조사에 나섰다. 3월에는 러시아연방 반독점청이 아이폰 소매가격 결정 개입 혐의로 거액의 과징금을 물리기로 했다. 타스통신 등은 혐의가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내놨지만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애플이 항소에서 패소할 경우 러시아 전체 판매액의 15%를 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8월에는 이웃나라 일본에서 또다시 폭탄이 터졌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일본 공정위가 야후재팬 사업인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게임플러스’에 대한 거래방해 혐의로 애플 조사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야후재팬이 작년 가을에 돌연 게임플러스 예산삭감을 발표한 배경에 애플의 ‘압력’이 있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애플은 마찬가지로 의혹을 부인했다.


▲ 브랜든 윤 애플코리아 영업대표.


애플코리아 영업대표, 결국 국감 증인석으로


이같이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배짱’을 튕긴다는 비판을 받은 애플은 조만간 ‘제대로 된 임자’를 만날 전망이다. 오는 10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 애플 등 해외기업의 한국지사 대표들이 줄줄이 증인으로 채택될 것이라는 관측이 정치권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의 한국지사 대표 증인 채택을 추진했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이미 이상호 돌비코리아 서울지사장을 증인 명단에 포함시켜 애플코리아 채택도 시간문제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실 관계자는 “각 당 간사실에서 증인 접수를 하고 있다”며 “애플 등 외국계 기업의 불공정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들 기업의 한국 대표 증인 신청, 자료 준비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실 관계자는 “국내 기업은 각종 법적의무, 정부심사를 받지만 외국 기업은 모든 규제와 의무를 회피한다”며 “이대로 놔두면 국내 IT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기에 국감에서 외국계 기업의 불공정 이슈를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라고 말했다. 결국 브랜든 윤 애플코리아 영업대표가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지난 3월 6만3767명이라는 국내 최대규모 집단소송을 당하는 등 애플의 문제점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공론화된 상태다. 국감에서 애플의 각종 갑질 논란이 해소될지, 아니면 민간이 스스로 자정(自淨)에 나서야 할지 주목된다. <끝>

키워드

#애플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