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처분되는 닭.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지난 4일 경남 창녕군 장척저수지 부근 야생 조류분변에서 검출된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저병원성으로 판정됐다.


장척저수지 야생조류 분변의 AI 바이러스가 H5N2형 저병원성으로 확인돼 장척저수지에서 10㎞ 이내에 있는 가금류 사육 농가 235곳에 내려진 이동중지 명령은 해제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번 AI 항원 검출이 예년보다 다소 빠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그 어느 때 보다 야생조류와 관련해 가금농가의 AI 차단방역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국내로 오는 겨울 철새의 주요 번식지인 러시아에서 AI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점을 예로 들며 올해 국내 발생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2014년 3건, 2015년 6건, 2016년 8건, 2017년 35건, 2018년 81건의 AI가 발생하는 등 올해 발생 건수가 지난해의 2배를 훨씬 뛰어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국가차원에서 차단방역을 강화하고 있고 대한양계협회(회장 이홍재)는 최근 농가들에 농식품부가 제시한 ‘야생조류 관련 농가 AI 차단방역요령’을 배포하며 농가들이 자체방역에 힘 써줄 것을 당부했다.

▲ 동물보호활동가들과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동물보호 단체들이 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동상 앞에서 세계 농장동물의 날을 맞아 '감금틀' 사육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AI가 고병원성으로 밝혀지고 대량 살처분 하는 것에 대해 동물단체는 반기를 들고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동물구조119 등 8개 동물단체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관련 생매장, 예방적 살처분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생매장 자루 안에 들어간 닭을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한다.

동물단체들은 지난달 27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에 대한 방역 보완 방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AI가 발생한 농가의 반경 3km 내에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예방적 살처분’ 방식을 반대했다. 이들 단체는 “해외 사례가 없는 ‘묻지마식 싹쓸이’ 예방적 살처분은 비과학적이고 무모한 동물 대학살“이라며 “살처분은 발생 농가 위주로 하고 방역대 내 농장에서는 역학 관계, 축종, 발생 시기 등을 고려해 예방적 살처분을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말 겨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의 신속한 초동 조치로 방역에 '선방'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구체적 유입 경로를 밝혀내지 못한 채 광범위한 살처분으로 가축 전염병을 빠르게 덮어버렸다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지난해 11월 17일부터 올해 3월17일까지 5개월 간 발생한 22건의 고병원성 AI로 162개 농가의 닭·오리·메추리 654만 마리가 땅속에 묻히거나 소각됐다.


가축별 살처분 규모는 닭 581만1000마리, 오리 69만6000마리, 메추리 3만2000마리다.

실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22개 농가의 사육 규모는 132만5000마리였다. 나머지 521만 여 마리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는데도 죽임을 당했다.

지난 겨울(2016년 11월~2017년 4월·383건)의 5.7% 수준인 22개 농가에서만 고병원성 AI가 발생했음에도 방역당국은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이들 농가와 3㎞ 내 인접한 농가까지 예방적 살처분을 벌이면서 5배 가까이 많은 가축이 도살된 것이다.


살처분은 질병 감염 가축과 동일군 내 감염의심 가축 뿐 아니라 필요시 직접 접촉이나 병원체를 전파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간접 접촉으로 감염이 의심되는 다른 가축군까지 죽이는 것으로, 질병 발생시 취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역조치의 하나다.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는 소각 또는 매몰 방식으로 폐기된다.

대대적인 살처분에 천문학적인 예산이 드는데다 환경 오염도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올해 초 AI 살처분으로 발생한 재정 소요액은 552억원으로 추정된다. 구제역까지 합하면 800억원대다.


키워드

#AI #조류독감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