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피아, 환피아 개입 의혹 지속적으로 불거져

▲ 지역주민들이 영풍석포제련소를 규탄하고 나섰다

[투데이코리아=이주용 기자]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비철금속 제련업체인 영풍, 영풍은 지난 1949년 영풍기업사로 시작해 1960년대 아연광석을 수출하며 국내 비철금속 산업의 신화를 쓰기 시작했다.

1970년에 영풍은 아연괴를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을 벗어나고자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아연제련소를 준공함으로써 비철금속 제련업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어 4년 뒤인 1974년 경남 온산에 자매사인 고려아연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온산 아연제련소를 완공하여 국내 아연시장의 공급을 주도하게 되었고 1988년에는 런던 금속시장(London Metal Exchange)에 등록되어 세계 시장에서 아연괴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후 지속적인 투자로 제련소 설비를 업그레이드 시켜왔으며 1999년부터 설비 합리화와 증설공사를 통해 최첨단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여 최상 품질의 아연괴를 400,000톤, 황산 728,000톤, 황산동 1,830톤, 전기동 3,000톤, 인듐 100톤, 은부산물 46,000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되며 명실상부 국가대표 비철금속 업체로 자리매김하였다.

국내 산업계의 한 획을 그으며 승승장구한 영풍, 하지만 그 이면에는 환경파괴를 일삼고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면서까지 자사의 발전을 꾀한 비도덕적인 기업이라는 시민사회의 비판이 존재하고 있다.

공장이 설립되고 나서 지금까지도 영풍석포제련소에서는 매년 끊임없이 환경 파괴문제가 제기되며 환경단체를 비롯한 제련소 인근 주민들의 반발과 항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29일 ‘영풍석포제련소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피해 공동대책위’는 영풍석포제련소에서 중금속이 함유된 배출수가 낙동강으로 유입됐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 제련소 관계자가 공장을 소개하고 있다



대책위는 이날 경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영풍석포제련소의 제2, 제3 공장에서 낙동강으로 뻗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에서 카드뮴, 납, 아연등의 중금속이 검출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6월 환경단체가 제련소의 배출수를 분석한 결과 카드뮴은 0.9475ppm, 납은 0.8951ppm이 검출 됐다고 밝혔다. 정부에서 지정한 청정지역 기준치는 0.2ppm으로 이 같은 수치에 따르면 그간 정수된 물만을 배출한다는 영풍석포 제련소의 주장은 명백한 거짓말인 셈이다. 또한 대책위는 “제련소에서 10Km나 떨어진 인근 소천면에서도 중금속이 검출 되었다며 당국은 제련소 인근 주민들의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제련소 노동자들과 낙동강 하류의 농장물에 대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영풍석포제련소는 금년 2월 정수장에서 정수되지 않은 중금속 오염수를 낙동강으로 무단 방출한 것이 적발되어 경북도청으로부터 조업정지 20일의 행정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제련소 측은 반송펌프가 고장이 나서 어쩔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고 도청의 행정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적반하장식의 태도를 보였다.

영풍석포제련소에 제기된 환경파괴 의혹은 매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제련소가 위치한 경북 봉화군 석포면은 경상도 주민들의 젖줄인 낙동강의 상류라는 점이다.

이 제련소는 무려 48년전부터 아연공장을 운영해 왔으며 그간 한번도 공장 중단없이 계속 아연을 비롯한 중금속을 생산해 왔다. 영풍그룹은 이 제련소를 주력으로 울산의 온산제련소를 런칭해 고려아연을 성장시켰고 비철금속의 계속되는 성장을 발판으로 현재 영풍은 영풍문고, 고려아연을 비롯한 24개 계열사를 거느린 대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애초에 아연제련공장은 특성상 수많은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밖에 없다. 아연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정광원석을 분쇄해 작은 가루로 만든 다음 물과 화학물질을 이용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아연을 분리해내는 과정이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남은 물과 찌꺼기는 버릴 수밖에 없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생산되는 미세한 정광가루는 밀가루보다 입자가 작아서 눈에 보이지도 않는데 이 가루는 공기를 타고 제련소 인근 나무와 토양에 스며든다. 정광가루는 비가 내리면 빗물을 타고 계곡에 흘러들고 이는 고스란히 낙동강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제련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산가스와 비소, 납, 아연, 수은, 카드뮴 역시 인체에 치명적인 물질인 것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어떻게 아연제련공장이 낙동강 상류인 이곳에 터를 잡게 되었는지 부터가 의문으로, 애초에 환경 적합 평가가 없었다는 지적과 함께, 환경평가를 막기 위해 영풍그룹이 자금줄을 이용해 ‘관피아’ ‘환피아’를 매수해 왔다는 의혹까지 제기 된 상태다.

지난달 19일 경북일보는 사설을 통해 그간 주요 정부기관에 배치된 인사들이 대부분 영풍그룹과 관련이 있는 인물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전 대구지방환경청장은 주식회사 영풍의 부사장으로 있고, 영풍그룹은 법무부장관, 환경부장관 출신은 물론 국무총리실, 국세청, 고용노동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전직 고위 공무원들을 사외이사로 임명했다고 보도했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인 홍영표 의원실은 영풍그룹에 속한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율이 30대 기업 평균인 43%의 두 배에 이르는 80%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의혹 대로라면 그간 영풍그룹은 낙동강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끊임없는 환경 파괴 지적을 민관유착으로 막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정의당의 이정미 대표 역시 "고위관료 출신의 사외이사가 이렇게 많음에도 제련소 주변의 환경오염이 반복되는 것은 역시 정부부처와 기업의 ‘민관유착’ 때문"이라고 지적했고 정의당 경북도당은 지난 4일 영풍석포제련소의 폐쇄를 촉구하고 나섰다.

▲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이 제련소 시찰에 나섰다



관계당국인 환경부는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후 지속적으로 영풍석포제련소의 환경 파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난달 5일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이 영풍석포제련소를 방문하여 실태 점검에 나섰고, 이어 새로이 임명된 조명래 환경부 장관 역시 석포제련소 문제를 심각하게 들여다 보고 있다.

조 장관은 지난달 29일 영풍석포제련소의 폐쇄나 이전 조치의 적극 검토를 언급하고 나섰고 조 장관의 이 같은 언급이후 30일에는 대구지방환경청이 내년 상반기까지 영풍석포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조사에 나선다고 밝혀 향후 조사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