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유효준 기자] 2019년 지금 우리 생활에 4차산업은 깊숙히 스며들어 있다.
카풀, 제로페이, 무인 편의 시설 잡음도 많고 뼈아픈 전통을 겪었지만 신체제(4차산업)가 구체제를 앞서가고 있다. 특히 구체제가 밀리면서 과거 전통적 방식으로 살아가던 소상공인들과 서민들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는 추세다.
이에 정부는 이에 4차산업 분야 진흥을 돕는 동시에 전통시장도 이에 뒤쳐지지 않도록 연간 막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 또 고용노동부를 필두로 4차와 만나면서 일자리가 존폐를 맞게 된 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이직프로그램 지원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껏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4차와 전통의 공생을 지켜내는 정부의 노력이 실효성이 없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우리는 근래 뉴스를 통해 카풀이라는 신체제에 목숨을 끊은 택시운전사, 대기업의 골목상권 독점으로 인한 전통시장 상인들의 몰락을 보고 있다. 주변에서 이런 안타까운 일들이 발생한다는 것은 정책의 방향성에 무언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 카풀서비스 반대로 목숨 끊은 택시운전사의 유서

카드 단말기도 없는데 QR결재하자는 정부


소상공인진흥공단에 따르면 올해 1월1일 기준 전통시장 카드가입률은 17년 전수조사 이후 아직도 70%가 채 안돼 카드결제가 불가능한 점포가 많았다. 2차 결제 방식인 현금으로만 구매가 가능한 점포에 4차적 결재 수단인 QR코드가 과연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이는 결제 수단을 두 단계나 뛰어 넘은 것으로 1차 결재 방식인 물물교환을 하는 고대인들에게 3차 결제수단인 카드를 들이미는 것과 같은 상황이다.


서울의 한 시장사업단 관계자는 "무조건 4차구색만 맞출 것이 아니라 전통시장 상인들의 자연스러운 세대교체와 4차에 적응된 청년층 유입을 장려해 청년 전통시장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층 상인들의 잔류는 전통시장 경영혁신과 소비자의 발길을 가로막는 주된 원인인 만큼 청년들이 전통시장에서 손쉽게 창업해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을 해야 한다"며 "관 주도의 형식적인 지원 정책 방식의 틀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행정당국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통시장 몰락의 주범은 대기업 유통업계? 변화 원치 않는 상인도 책임있어


많은 전통시장 상인들은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이 우리를 죽였다고 한탄한다. 하지만 범국가적인 4차의 흐름에 언제까지 정부에 무조건적 호소만 하는 것은 능사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의 골목진출에도 변화를 끝없이 모색해 살아남은 시장도 있다. 서울 성북구 정릉시장이 대표적이다.


정릉시장 사업단 관계자는 "청년서포터즈라는 제도를 만들어 인근 대학교 학생들에게 시장기자단으로 임명,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시장 내 여러 가게들에 수시로 방문해 사진을 촬영하고 음식의 평을 남기고 심지어 인심, 친절도까지 기사화해 SNS에 등재한다는 것이 사업단의 설명이다.


정릉시장 한 상인은 “전통시장은 더 이상 대형마트를 못 가게 막아 어쩔 수 없이 전통시장으로 가도록 하는 떼쓰기식 전략은 버려야 한다"며 "소비자가 찾아갈 수 있는 자체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릉시장 청년서포터즈 기자단 김남균 학생은 "전통시장은 낡은 이미지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선제적인 활로개척으로 새로운 입지를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약하다는 생각을 버리고 그들과의 경쟁에서 어떻게 살아남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대학을 졸업하고 시장에서 청년으로 일할 계획이라며 전통시장에도 젊은 바람이 불고 혁신을 이뤄진다면 젊은 사람들도 백화점이 아닌 시장을 찾게 될 날이 올 것 같다"고 밝혔다.

▲ 텅빈 시장(왼쪽), 유명 유통 대기업 사옥(오른쪽)

정부, "실질적 지원으로 전통시장 상인들 일터를 떠나는 일 없을 것"


소상공인진흥공단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전통시장 상인들이 급격한 산업구조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소비자를 유치하도록 청년예술가를 통한 리모델링 사업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요즘은 명문대생들도 전통시장에 창업하는 경우가 많다"며 "정부가 조기에 전통시장 사업을 지자체 별로 독려해 정착이 잘된 편"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러한 낙관론에 대해 시장 현장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 청년창업사업단체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을 과거보다 늘인 것은 사실 이지만 청년이 완전히 전통시장의 일원으로 자리 잡기엔 역부족이다"라고 우려의 입장을 내비쳤다.
정부의 질적 지원확대와 청년의 전통시장 유입으로 4차의 거센 바람을 이겨내 전통시장에 웃음소리 가득 채우는 그 날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