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권규홍 기자]동아시아 정세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오는 27일~28일 양일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것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애초에 개최국을 두고도 북한과 미국 양국은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하지만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1차 회담이 성공적으로 열린 만큼 세계 각국의 언론들 역시 이번에도 김 위원장의 전용기 항속거리 때문에라도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하나가 개최장소로 낙점 될 것 이라고 예측했다.

그간 거론된 장소로만 평양, 판문점, 몽골, 태국, 스웨덴 등등이 거론 되었지만 평양과 판문점은 정치적 견해차이로, 몽골과 태국은 보안문제와 국내정세 불안정으로 후보지에서 배제되었고 스웨덴은 항속 거리문제로 제외되었다.

북한과 미국 당국은 왜 베트남 하노이가 2차 정상회담 장소로 결정됐는지 뚜렷한 입장을 내보이지 않고 있지만 양국간 역사와 현재 베트남을 둘러싼 국제 정세를 살펴보면 왜 하노이가 회담장소로 결정이 되었는지 수긍이 갈 수밖에 없다.


▲ 팜 민 빈 베트남 외교부장관과 만난 북한 리용호 외무상


북미 양국과 베트남과의 관계

베트남은 북한과 미국 모두와 인연이 깊은 나라다.

베트남은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로 북한 입장에선 동질감이 있는 국가다. 또한 하노이에는 북한 대사관이 위치해 있고 김정은 위원장이 경제개발 모델 중 하나로 베트남의 도이모이 정책을 벤치마킹 한다는 것이 알려지며 베트남과의 관계가 우호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역시 ‘베트남 전쟁’이라는 양국가간의 아픈 과거가 있지만 최근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중국이 미국을 위협하는 존재로 부상하면서 미국의 대중압박정책의 일환으로 베트남과의 관계가 재정립되었다.


▲ 미국과 베트남의 아픈역사로 기록된 베트남 전쟁


더 나아가 지난 2016년 5월 23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베트남을 방문해 그간 베트남에 내려져 있던 무기수출금지조치의 전면 해제를 깜짝 발표하며 사실상 그간 베트남과의 껄끄러운 과거역사를 완전히 털어내 버렸다.


베트남 역시 최근 경제가 급성장하여 자국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와중이라 이번 회담으로 거둘 엄청난 홍보 효과와 관광 효과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번 회담지로 베트남 하노이가 선택된 것은 북한, 미국, 베트남 3국 간의 의견이 서로 일치 되었다고 보는 게 정확하다.


베트남의 목표는?

지난 8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한 이재현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회담에 베트남이 얼마 만큼의 기대를 걸고 있는지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위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베트남이 북한과 미국의 정상을 초청함으로서 ‘경제적 성공을 국제 사회에, 아시아 지역에 한반도 평화나 이런 문제에 대해서 공헌을 할 수 있다’라는 걸 보여 주는 거다. 자기들이 경제적으로 이만큼 성장했고, 베트남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왔다는 걸 보여 주고 싶은 그런 부분이 있다”며 “이걸 통해서 미북 사이의 이야기가 잘되면 베트남한테도 그 공이 상당 부분 돌아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세속적인 차원으로 보면 지난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 있었을 때 싱가포르 정부가 130억 정도의 돈을 썼는데 전 세계의 주요 미디어들이 베트남에 온다고 하면 베트남이 거둘 엄청난 국가 홍보 효과는 돈으로도 매길 수 없을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베트남도 그간 여러 번 ‘베트남의 경제 성장 모델이 북한에 적용되면 좋겠다’ 라는 이야기를 했었고, 현재 베트남이 1975년에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나서 경제적으로 성장하기까지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가 경제 성장에 큰 힘이 되었다는 것을 북한에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위원은 이번 베트남에서 열릴 북미정상회담이 우리나라에게도 큰 영향을 끼칠수가 있다고 보았다.

▲ 2018년 베트남을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이 위원은 “베트남 한 나라만으로도 우리와의 무역 4위 상대이며, 미국 다음가는 규모의 굉장히 큰 규모의 교역국이며 연간 300억불의 무역 흑자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때문에 현재 문재인 대통령이 신남방정책을 펼치며 베트남과의 경제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며 “사회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그다음에 지역협력, APEC, ARF등과 같은 많은 다자협력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동남아에 대한 인식은 국제적인 시각보다 매우 낮다”며 아세안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 위원은 아산정책연구원에서 내놓은 ‘신남방정책이 아세안에서 성공하려면?’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신남방정책을 문재인 정부의 외교 유산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위원은 이 보고서에서 “신남방정책은 문재인 정부 외교적 이니셔티브 중 가장 뚜렷한 성과를 남긴 유산으로 기억될 가능성이 있다. 문재인 정부가 마주하고 있는 외교 사안 중 한반도, 강대국 관계, 동북아 문제 등은 중요한 사안이지만 복잡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에 쉽지 않은 주제다”라며 “그에 반해 신남방정책은 보다 적은 노력과 관심으로도 큰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다. 아직 한-아세안 간에 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어려운 도전이 기다리는 영역이 아니라 아직은 충분히 개척되지 못한 외교적 신세계 (new frontier)"라고 주장했다.


더욱이 "신남방정책의 성공은 한국의 외교안보적, 그리고 경제적 미래 이익, 외교 다변화, 대 강대국 전략적 레버리지 강화 등 한국의 전략적 이익 확대에 큰 도움이 된다”며 그간 미국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의 외교전략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이제 아세안, 보다 넓게 신남방으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외교를 한반도와 4강 처럼 한국 외교의 핵심 아젠다로 만들 때다. 이렇게 될 때 아세안이나 신남방정책의 대상 국가, 지역도 한국을 왔다 가는 손님이 아니라 늘 그들과 함께 하고 신뢰할 수 있는 협력의 파트너로 인정 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한국이 아세안 외교에 큰 힘을 쏟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계속>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