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우리 사회에 혁신적인 첨단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 시대의 대표주자인 ‘드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드론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를 뜻한다. 사전적 의미는 ‘(낮게) 웅웅거리는 소리’인데 작은 항공기가 소리를 내며 날아다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드론은 지난 2000년대 초반 군사용으로 처음 개발됐다.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를 대신한 표적 용도로 사용됐으나 점차 범위가 넓어져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미 전 세계 선진국들은 드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미국의 구글·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은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고, 실제 드론택배 등 시범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의 DJI는 레저용 드론시장에서 약 70%를 웃도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에 따르면 세계 드론시장은 연 29%씩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몸집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우리 정부도 오는 2026년까지 드론시장 규모를 4조4000억원까지 키우고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드론의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하다. 농업, 환경, 운송 등 다방면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뿐 아니라 국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분야다. 특히 드론의 가장 큰 장점은 사람이 장시간에 걸쳐 해야할 일을 대신하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농업 분야에서 드론은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의 획기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업 관련 기관들은 일제히 드론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농가를 찾아 드론방제 시범을 보이는 등 농업용 드론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농업에서 드론을 사용한다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드론의 크기, 비행 시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한 작업자가 반나절 가까이 살포해야 할 농약을 드론은 1회 비행으로 살포할 수 있다.
농업용 드론은 분무기살포기에 비해 작업능률이 약 10배 높고, 기동성이 좋아 좁거나 경사지 등 험한 농지의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오는 2026년까지 세계 드론시장은 약 25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농업용 드론의 성장세도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드론은 우리 농업에 없어서는 안될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사회적 문제인 미세먼지 문제에도 드론이 활용된다. 환경부는 지난 19일 ‘미세먼지 감시(드론추적)팀)’을 발족하고 미세먼지 불법 배출사업장에 총력 대응한다고 밝혔다.
이들 감시팀은 연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3월부터 5월 사이에 미세먼지 배출사업장을 집중 단속한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최신 장비를 활용한 입체적인 단속이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 설 연휴 고속도로에서는 암행순찰차와 함께 드론이 단속 현장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은 교통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갓길운행 등 얌체운전자를 잡아냈다.
드론은 배송 분야에서도 활약할 전망이다. 우편물 배송이 어려운 산간 지역에서 드론은 매우 유용한 장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지난해 8월 8일 산간지역 드론 우편배송 시범운영 행사를 열고 드론 배송과정을 공개했다.
우편배송용 드론은 집배원의 차량 내 관제시스템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GPS로 경로를 인식, 자동으로 비행하는 방식이다.
이날 행사에서 배송에 투입된 드론은 9km 떨어진 목적지에 5kg의 우편물을 적재한 채 성공적으로 우편을 배송했다. 산악도로를 차로 30분 가량 달려 배달해야 하는 거리를 약 7분 만에 도달했다.
강성주 우정사업본부장은 “드론배송을 2022년까지 상용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1년 정도 단축시켜 2021년부터 상용화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드론의 활용 범위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정부도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해 지원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3일 ‘드론산업 활성화’를 주제로 열린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 드론정책 추진현황’을 통해 올해 드론을 포함한 무인이동체 분야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275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정부는 미래시장을 선도할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민간의 혁신적인 시도가 규제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