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첫해는 소득 반토막…5년 차에 농가 평균 넘어

▲ 귀농 귀촌 실태조사 주요결과 지표.(농림축산식품부 제공)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귀농·귀촌 가구를 조사한 결과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 출신들이 되돌아 오는 이른바 U턴(농촌-도시-농촌)형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농·귀촌한 첫해에는 평균 소득이 반토막에 가깝게 줄어들지만 5년차에 접어들면 평균농가 소득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11일 이와 같은 내용의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농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귀농 53.0%, 귀촌 37.4%)하는 U턴 현상 경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으며 연고가 없어도 농촌 출신이 다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에 이유에서는 자연환경과 정서적 여유·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아서가 26.1%로 가장 높았고, 농업의 발전 가능성(17.9%), 도시생활의 회의감(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 승계(18.6%), 도시생활 회의감(16.7%), 좋은 자연환경(10.2%)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생활 만족도는 10가구 중 6가구 꼴로 ‘만족’으로 나타났고 3가구는 ‘보통’, 1가구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불만족 이유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 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 가구가 귀농 준비에 평균적으로 27.5개월의 기간을 갖고 있어 사전 준비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을 하기 전 평균가구소득은 4232만원이었지만 1년차에선 반절의 가까운 2319만원까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5년차에 이르면 3898만원까지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농가평균소득인 3824만원보다 소폭 많은 금액이다.


또한 귀농 가구 중 43.1%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며 87.2%의 귀촌 가구가 직장 취업·자영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동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의 월 평균 생활비는 각각 196만원, 213만원으로 나타났고 주로 식비·주거·광열·수도·전기세·교육비 순으로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지역은 부모나 친척이 살고 있는 연고지가 귀농·귀촌 각각 43.8%, 32.8%로 가장 높고, 이전 주거의 근처, 자연환경 우수 등으로 조사됐다.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27.8%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십 등 교육을 이수했다. 특히 5년차가 된 2012년 귀농인을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원)보다 훨씬 높았다.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돼야 할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취약게층일자리,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볼 때 관련 교육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컨설팅 지원 강화가 필요해보인다”며 “농촌 정착에 소득부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심층분석하여 귀농․귀촌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보완 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귀농․귀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귀농․귀촌 인구가 2017년 기준으로 50만을 넘어서는 등 귀농귀촌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귀농·귀촌 실태의 면밀한 파악을 위해 유의미한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도록 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귀농․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귀농 #귀촌 #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