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2018년 고용동향 5대 특징’ 발표

▲ 고용률과 실업률 추이.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지난해 늘어난 취업자가 2010년 이후 가장 적은 가운데 고용의 질도 나빠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금융위기 이후 고용률이 처음으로 꺾이고 ‘경제 허리’라고 불리는 40·50대 고용률이 감소하는 등 고용 시장이 악화됐다는 지적이다.
2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연간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2018년 고용동향 5대 특징’에 따르면 작년 고용 특징은 △증가 추세였던 고용률이 처음 감소 △40~50대 고용률 감소 △고졸 학력 고용률 감소 △경제활동참가율이 정체된 가운데 취업자는 줄고 실업자는 증가 △늘어난 취업자도 저임금 산업 비중 확대 등으로 요약됐다.

먼저 지난해 전체 고용률은 60.7%로 전년대비 0.1%p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58.9%)부터 상승곡선을 그리던 고용률이 처음으로 꺾인 것이다.

인구 증가 대비 취업자 증가로 보면 지난해 취업자는 생산가능인구 증가분(25만2000명)의 38.5% 수준인 9만7000명에 그쳤다. 이는 2010년 이후 최저 63.1%에서 최고 121.8%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한경연 관계자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추세를 감안하더라도 작년의 취업자 수가 이례적이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실업률은 3.8%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3.7%) 이후 최고치다. 실업자 수 또한 100만명을 넘긴 107만3000명에 육박했다.

지난해 40대와 50대 고용률을 각각 0.4%p, 0.1%p 감소했다. 40·50대는 15세 이상 인구의 38.2%를 차지하고 있다. 가족을 부양하는 주체로, ‘경제 허리’라 불린다.

한경연 관계자는 “40대와 50대 가구주 가구의 소비지출은 평균 대비 20%이상 높아 고용률 하락이 가계소비 감소로 연계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모든 연령에서 고용률이 줄었던 2003년과 2009년을 제외하고 40대와 50대 고용률이 동시에 감소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20대 고용률은 지난해 일부 회복했고 30대 고용률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고졸 학력 인구의 고용률은 0.7%p 하락했다. 고졸 인구는 6만4000명 줄어든데 반해 취업자 수는 3배 수준인 16만7000명 줄어든 결과다. 고졸 취업자가 감소한 것 역시 201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한경연 관계자는 “중졸 이하 인구의 고용률도 2010년 39.7%에서 2018년 36.8%로 꾸준히 하락하는 등 저연령·저학력 층의 일자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며 고용시장의 부진을 우려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대비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을수록 전체 인구에서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 사람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15∼64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년대비 0.1%p 증가해 노동시장이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경제활동참가율이 정체한 것은 취업자가 줄고 실업자는 늘어 경제활동인구 감소폭이 5000명에 그쳤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에 진입한 사람은 줄고 취업의사가 있어도 실제 취업하지 못한 사람이 늘어난 것이다.

한경연은 “지난해 경제활동참가율은 취업자 부문의 증가가 경제활동인구 증가의 대부분을 이끌어 온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취업자는 9만7000명 늘어났는데 저임금 산업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 증가 중 저임금산업 비중이 69.7%로 2017년(81.6%)에 비해서 낮아졌지만 2015년(40.8%)과 2016년(47.0%)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다.

산업별로는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과 교육 서비스업은 지난해 각각 5만6000명, 6만명 줄어든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12만5000명, 농림어업이 6만2000명 늘어났다. 늘어난 일자리마저 민간부문보다 공공부문에서 만들어 내거나 저임금 일자리가 많았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고령화와 더불어 급격한 고용보호 정책으로 일자리 상황이 지난해 양적인 측면 외에 질적인 측면에서도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라며 “근본적으로는 민간 중심의 고용이 늘어나야 하는데 성장률 제고나 규제 완화처럼 실질적으로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경영환경 개선이 없다면 올해 일자리 사정도 크게 나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