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와 블록체인은 한 몸, 이분법적 정책... 해외시장에 도태 우려

투데이코리아=유효준 기자 | 재작년 12월 비트코인의 1단위가 3000만원을 웃돌때 정부에서는 "블록체인은 막지 않겠지만 암호화폐는 엄단하겠다"고 밝혔다.
아직까지도 '진흥보다 규제', '가상화폐=적폐'라는 정부의 정책기조는 변함이 없다.

물론 지자체별로 가상화폐를 지역화폐와 결부해 여러가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도 공공영역에서의 가상화폐는 부정적인 투기대상일 뿐이다.


정부, 블록체인에 대한 낮은 이해도... 잘못된 정책의 방향성



정부는 암호화폐는 범죄화하고 블록체인은 양성화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모순이다. 정부가 말하는 이 두 가지는 절대 양립할 수 없는 명제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블록체인이 왜 혁신적이고 보완성이 뛰어난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블록체인은 불특정 다수의 노드(Node, 데이터 접속점)와 거래검증인들이 자신의 컴퓨팅 리소스를 분산 네트워크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들은 장부 하나씩을 갖게 된다.

예컨대 삼성이나 애플이 주도해서 전 지구적으로 서버를 갖다 놓는다고 해서 블록체인이 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특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랜덤하게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서 컴퓨팅 리소스가 제공되고 그런 노드들에 의해 장부가 공유될 때 해커들은 그 장부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가상화폐의 보완성은 바로 이러한 블록체인의 분산성에 기초하여 탄생했다.

결국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은 불가분의 관계인 것이다.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부는 "달걀은 없는데 닭은 있다"는 말을 계속 하고 있는 것이다.


블록체인 전문가들, "해외시장은 파죽지세, 국내시장은 규제에 막혀"


▲ '한국블록체인 협·단체 연합회 출범식'

블록체인 분야는 국내시장에 기반한 산업이 아니다.


전 세계가 암호화폐 플랫폼 코인마켓캡을 기반한 자유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국경없이 치뤄지는 전쟁이기에 각 나라별 암호화폐 제도에 따라 경쟁력에 있어 출발선이 다른 것이다.


카이스트 신성철 총장은 “전 세계는 블록체인 기술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지난 18일 국회에서 발언한 바 있다.

그는 "기술 패러다임과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국가적 전략이 시급하다”고 밝히며 “정부 정책 방향이 블록체인 산업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익당사자가 아닌 학계에서도 정부는 더 이상 규제의 시선으로 블록체인에 부정적 프레임을 씌워선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는 하루 빨리 국가차원의 제도확립을 마무리하고 국내 블록체인 시장이 치열한 세계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