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액적 현실이 가장 큰 장벽…산·학·연 협력 체계도 필요

▲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최근 인기가 높은 크로톤. 오늘 만난 A씨는 스마트팜에 대해 역설했다.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스마트팜을 구경해보긴 했지만 너무 비용이 많이 들어요. 물론 정부 지원으로 할순 있겠지만 하루벌어 하루 먹고 사는 우리같은 사람들은 그림에 떡이죠”

수도권에서 화훼농장을 하고 있는 A씨, 그는 최근 인기가 많아진 크로톤의 물을 주면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을 가리킨다. 날씨나 기후에 영향도 적게 받고, 자동화를 통해 높은 생산력과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해 낼 수 있어 이웃나라인 일본만 보더라도 스마트팜의 보급률과 선진화가 이루어져 있다.

다만 현재 정부에서 스마트팜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중이지만 한계점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 교육생 모집, 스마트팜 혁신밸리 선정, 정부 지원이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정부뿐만 아니라 연구기관, 산업, 기업의 힘이 필요하다.

A씨는 “2016년쯤 스마트팜을 도입해 보려고 시도는 해봤지만, 그때 김영란법(부패방지법)이 터져 수입이 급감했다”며 “현재는 많이 회복했지만 아직도 그때 여파로 금리가 싼 정부 지원 금융상품도 조금 겁이 난다”고 답했다.

정부정책이 부족한것은 아니지만 금액적인 문제가 가장 큰 한계로 뽑힌다. 일단 단순 개인 농업인들은 해마다 작물의 호황이나 시장상황에 따라 수입이 들쭉날쭉 한데다 최첨단 ICT 장비를 농장에 들이기에는 많은 초기 자금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A같이 개인 영세업자의 입장에서 스마트팜 같은 큰 규모의 투자비용과 실험적 모험을 요구하는건 매우 역부족이다. 더구나 시설관리와 재배가 전통적 재배방식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문 지식도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 식물 공장 내부에 재배실에 모습을 확인할수 있는 창문. 비어 있는 베드(bed)는 수확이 끝나 다음 재배를 기다리고있다.(자료사진)


한편 지난해 2월부터 3월 16일까지 모집된 스마트팜 보육사업 제1기 교육생 B씨는 정부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고 좋지만 시범사업이다 보니 허점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만 18세 이상부터 40세 미만의 청년을 대상으로 모집하며 전공에 관계없이 창업농 희망청년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실제 뽑힌 60명의 교육생들도 농고 졸업생부터 법인회사 대표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뽑혔다.

입문교육이 끝나면 경영실습교육 과정에서는 팀별로(3명 1팀) 제공되는 스마트팜 실습농장에서 자기책임 하에 1년간 경영실습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B씨는 경영실습 1년간 100만원씩 받아도 1200만원에 3명씩 3600만원을 지원 받는 셈이다. 하지만 이 돈이 현실적으로 농사를 짓는데 도움이 되는데 B는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B씨는 “교육비가 모두 무료이고 ‘농업법인 취업’ 알선해준다거나 ‘월 100만원 영농정착금’을 받을 수 있다까진 매우 좋아 보여도 현실적으론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수도권에서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있는 농업법인의 관계자는 “우리같은 경우 법인회사고 시범사업을 통해 스타트업했지만 스마트팜이 자리를 잡으려면 정부의 보조금 지원과 성공사례의 노하우를 전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학·연 협력 체계도 지적했다. “당장 가까운 일본의 경우 식물농장을 재배하는데 있어 산업과 대학, 정부 연구개발등 다양하게 협력해 R&D(연구개발)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의 경우 그런 점이 매우 미흡하다”며 “우리만 봐도 전부 자체개발 자체연구를 했다. 전문 지식을 가진 전문가 육성과 협력 체계가 있어야 한국화 스마트팜이 정착될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전문가들이 많이 필요한데 비해 국내에선 농업관련 전문가가 너무 적다"고 말했다.

한편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정부가 야심 차게 미래 먹거리로 추진하는 스마트팜 농업이 앞으로 2년 후에는 선진국 기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장관은 지난 13일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지금은 선진국과 4년 정도 기술 격차가 있지만 2년이면 극복된다”며 “스마트팜은 데이터 집약적인 산업으로, 그 기술은 빅데이터를 확보했느냐 유무에 달렸다. 아직 빅데이터 확보 역량이 외국보다 뒤진다”고 말했다.

이어 “다량의 데이터를 단기에 집적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멀티 테스트’를 하고 있다”며 “아직 완벽한 데이터를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앞으로는 나아질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