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소득 5분위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통계청자료, 뉴시스 그래픽 안지혜 기자)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올해 1분기 소득분배 지표가 소폭 개선됐다. 하지만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이 함께 줄어든 영향이 큰 걸로 나타났다.

5분위 고소득자의 소득 감소와 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제외한 시장 소득만 놓고 보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 격차는 10배 가까이 벌어졌다. 여기에 우리나라 가구가 실질적으로 쓸 수 있는 소득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또한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자영업황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사업소득 감소세도 이어졌다.

다만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 소득과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분배 격차는 다소 완화됐다. 5분위 배율이 1년 전보다 0.15배p 줄어드는 등 2015년 이후 4년 만에 하락했다.

24일 통계청의 '2019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80배로 전년 동분기(5.95배)보다 0.15배 포인트(p) 하락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소득 상위 20%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을 하위 20%의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소득도 2.2% 감소했다. 이들 계층에서 소득이 줄어든 건 2016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2018년 1분기 최상위층의 소득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는 분석이다.

올해 1분기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5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줄어들었다.

지난해 4분기 감소 폭(-17.7%)보다는 완화되며 5분위와 소득격차는 줄어들었다. 지난해 1분기(-8.0%), 2분기(-7.6%), 3분기(-7.0) 등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올해 1분기 감소 폭이 가장 작다.

정부의 정책효과 등으로 감소 폭이 축소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초연금 확대 등 정부의 사회안전망 강화 정책이 저소득층 소득 보완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9월 21만원이었던 기초연금을 25만원으로 인상했다. 공공기관 등에서 개인에게 지급되는 공적이전소득의 증가율도 1분위의 경우 전년 대비 기준으로 2018년 1분기 13.4%, 올해 1분기 15.8%로 늘었다.

박상영 복지통계과장은 “1분위의 소득 급락이 멈춰섰고, 5분위에서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의 부진이 나타나면서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5분위 배율 지표에 정부의 정책효과가 반영돼 있고 이번 분기가 정책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관계장관회의에서 “1분기 소득 격차가 다소 개선됐음에도 저소득층 소득 여건이 여전히 좋지 않다는 점을 엄중히 인식하며 맞춤형 지원을 도입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1분기 우리나라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4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이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3분기(-0.7%)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경기 부진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시장 소득 창출 여력이 낮아졌다"며 "정부의 재정 투입 효과로 상쇄하지 못할 만큼 시장소득의 감소세가 가파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