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원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재난대응의료안전망사업단을 방문해 관계자로부터 의료장비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정부가 5G(5세대 이동통신)·AI(인공지능)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3일 신촌 세브란스병원(연세의료원)에서 ‘인공지능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사업단’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5G를 통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해 지난 4월 8일 발표한 ‘5G+ 전략’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다. 2021년까지 3년간 총 231억원이 투입된다.

연세의료원이 주관하고 아산병원·아주대병원 등 6개 의료기관, KT·카카오모빌리티 등 10개의 ICT(정보통신기술) 기업, 서울대학교·전자통신연구원 등 4개의 기관 등 총 21개 병원과 기업이 사업단으로 구성됐다.

사업단은 먼저 5G 기반 전송체계를 접목해 응급 현장에서 발생하는 심전도‧혈압‧맥박 등 생체데이터와 소리‧대용량 의료영상 등의 데이터를 초고속‧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

위 시스템이 구축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 증상을 파악하고 주변 응급센터의 과밀도, 질환별 분포도 등의 분석을 통해 환자별 최적병원 자동선정시스템과 구급차용 내비게이션의 별도 개발 등으로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증상 및 구급단계별로 활용 가능한 ‘환자 맞춤형 응급서비스’도 개발한다. 우선 4대 응급질환(심혈관질환·뇌혈관질환·중증외상·심정지)을 대상으로 응급의료 각 단계(신고접수→응급처치→이송→응급실)에 맞춰 개발된다.

아울러 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현재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소방청, 응급실 등으로 흩어져 있는 ‘응급의료데이터’를 5G 기반으로 통합‧연계‧분석해 인공지능 학습이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플랫폼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2021년 2~3개 지역에서 실증을 통해 119 구급차와 응급의료센터에 ‘AI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을 우선 적용한 뒤 향후 지역 소방본부, 의료기관 등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에 참석한 과기정통부 민원기 제2차관은 축사를 통해 “지난 4월 상용화된 5G와 AI 기술을 활용해 국민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를 만드는 사업인 만큼 상호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개발해줄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연세의료원 장혁재 사업단장은 추진방안 발표를 통해 “생명존중의 정신으로 시스템, 서비스 등 각 분야의 개발 및 실증에 한 치의 오차도 없게 하겠다”며 각오를 다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