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회원들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노동자 총파업 돌입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이번달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을 시작으로 노동계가 연쇄적인 ‘하투(夏鬪·하계투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학교 급식 종사자들과 우체국 집배원들의 파업이 예고돼 있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총파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특히 불법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구속됐다가 얼마 전 석방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강경 투쟁 노선을 굽히지 않고 있어 노동계 하투 동력에는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2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임금 인상과 관련해 교육당국과의 협상이 결렬된 상황이기 때문에 파업이 현실화 될 경우 초·중·고교 ‘급식 대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파업에 참여하는 노동자 대부분은 급식조리원, 돌봄전담사, 교무행정사 등이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조합원 9만5000여명 중 약 5만여명이 이번 총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총파업은 민노총 공공부문 조합원들이 처음으로 연대파업을 조직해 강경한 투쟁 입장을 밝히고 있어 파장은 거셀 것으로 보인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 1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상 최대·최장 파업을 앞두고도 정부는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했고 교육감 중에도 책임지고 교섭 타결과 문제해결에 나서는 이가 없다”며 “우리를 파업에 내몬 이는 정부”라고 강조했다.

▲ 이동호 전국우정노조 위원장이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조합원들과 다음 달 9일 우정사업 역사상 첫 총파업 실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급식 대란에 이어서는 물류 대란이 찾아올 가능성도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오는 9일 파업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앞서 우정노조는 지난달 25일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94.38%의 압도적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다.

우정노조는 잇따른 집배원들의 과로사 문제가 대두되자 2000여명의 인력 충원, 주 52시간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우정사업본부는 예산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와 우정노조는 지난 1일 열린 제3차 조정회의에서 노사간 합의로 조정기간을 오는 5일로 연장하기로 했다. 조정기간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노조는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파업이 현실화된다면 1958년 우정노조 출범 이후 61년 만의 첫 파업이다.

▲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1일 열린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온전한 정규직 전환 및 차별철폐, 노정교섭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이번 공공부문 비정규직 총파업에 참여하는 민노총은 오는 18일 총파업을 진행한다. 김명환 위원장의 조건부 석방에도 불구하고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총파업 대회에서 민노총은 △노동법 개선 문제 △재벌 독과점 해체 △노동기본권 확대 등을 요구할 계획이다.

김명환 위원장은 석방 이후 “아스팔트를 녹이는 더위보다 더 뜨거운 7월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임단협)을 진행 중인 자동차 업계 노조들 역시 하투를 예고해 전운이 감도는 상황이다. 특히 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동조합 최대 노조인 현대차 노조는 올해 추석 전 임단협 타결을 목표로 설정하면서도 강경 투쟁 전개를 천명했다.

한국GM 노조는 사측과 한 달이 넘도록 임금 협상 교섭장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GM 노조는 합법적 파업을 위해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 신청을 했지만 무산됐다.

한국GM 노조는 “파업권 확보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지만 서두를 필요는 없다”며 “하나씩 투쟁을 준비해 가면서 만들어 가야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