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실직하면 실업자 신세 벗기 어려워져

▲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금융위기 이후 최근 우리나라의 노동이동이 둔화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실업자가 취업에 성공할 확률은 낮아지고 고용상태를 유지한 취업자는 취업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노동이동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의 보고서를 살펴보면 취직률과 실직률을 합산한 노동회전율은 2000~2009년 29.2%였으나 2010~2018년 26.4%로 2.8%포인트 감소했다.

2000~2009년 취직률은 28.2%였으나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8년에는 25.6%로 2.6%포인트 하락했다. 취직률은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다음 달 취직할 확률을 의미한다.

취업자가 한 달 후에 직장을 잃을 확률인 실직률도 2000∼2009년 1.0%에서 2010∼2018년 0.8%로 0.2%포인트 떨어졌다.

취직률에 실직률을 더한 값인 노동회전율은 29.2%에서 26.4%로 떨어졌다.

실업자가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진 반면 이미 직장있는 사람은 취업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보고서는 "노동시장제도 변화 외에도 경기진폭 둔화, 고학력 노동자 증가, 생산설비의 세계화(해외생산) 등도 복합적으로 노동이동 둔화에 작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주요 문헌에서는 노동이동을 통한 고용 재배치가 노동생산성과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했다”며 “노동이동 둔화는 앞으로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