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사업화해 정관에 기재한 기업 15% 불과

▲ 국내 주요 상장사 중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들을 사업화해 정관 목적사업으로 기재한 곳은 15%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았지만 우리 기업 대부분은 3차 산업혁명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10년간 국내 주요 상장사 중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관련 사업에 뛰어든 곳은 15%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018년 기준 매출 상위 300대 기업 중 코스피 상장 132개사(금융 제외)의 정관 목적사업 변동(2008~2018년)을 조사한 결과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을 사업화해 정관 목적사업으로 기재한 기업은 조사대상 132개사 중 15.2%(20개사)에 불과했다고 11일 밝혔다.

정관에 가장 많이 추가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사업은 자율주행과 무인항공기(드론)로 나타났다. 반면 핀테크, 3D프린팅, 블록체인 등의 경우 관련 기술을 사업화해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기재한 사례는 없었다.

기업이 영위하는 업종과 무관하게 많은 기업들이 교육서비스, 전자상거래, 신재생에너지 등을 정관에 추가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이는 컴퓨터, 인터넷, 온라인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활용한 사업 모델”이라며 “아직까지는 우리 기업 대다수가 3차 산업혁명 시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교육서비스의 경우 직무교육이나 사내에 한정된 교육 콘텐츠를 인터넷과 온라인을 활용해 대외로 확장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했다. 조사대상 132개사 중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반영한 기업 비중은 2008년 17.4%에서 2018년 40.9%로 증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IT전기전자나 건설·건자재 업종은 해당기업 모두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반영했다. 또 △상사(60%) △생활용품업(58.3%) △서비스업(50%) △석유화학업종(50%) 등은 해당기업의 절반 이상이 교육서비스업을 정관에 추가했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류와 금융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 유통기업 10개사가 모두 전자상거래를 정관에 추가했다. 네이버, SK, 카카오, 삼성SDS 등 IT 서비스업종 4개사도 모두 전자상거래를 정관에 올렸다.

신재생에너지는 건설업과 에너지기업 등 사업 연관성이 높은 업종들이 집중적으로 정관에 반영했다.

조사대상 132개사의 지난해 평균 목적사업 수는 38건으로 2008년(25건) 대비 52% 증가했다.업종별로는 △통신(158.3%) △에너지(144.4%) △철강(109.1) 순으로 목적사업 수가 늘었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사업 진출(통신) △풍력,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사업 확대(에너지) △부진한 업황 타개를 위한 신사업 진출(철강) 등이 주요 원인으로 해석된다.

한경연 혁신성장실 유환익 상무는 “기업 정관에 기재된 목적사업은 삭제나 추가 시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정관 목적사업의 변화로 해당 기업의 사업 추이를 확인해볼 수 있다”며 “아직 우리 주력 상장사들이 3차 산업혁명에 머물고 4차 산업혁명 진출은 미흡한 것이 드러난 만큼 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와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