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로 풀어야 할 문제를 기업이 움직이는 꼴

투데이코리아=김현호 기자 | 일본의 경제 보복과 관련해 ‘민관 공동대응’을 앞세우는 정부와 청와대 전략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제한 조치에 맞서 정부와 청와대가 최근 잇달아 기업과 접촉을 늘리는 데 대해선 “뭔가 방향을 이상하게 잡은 것 같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번 사안이 양국 간 과거사 문제 해결이라는 외교 문제에 기인하고 있는 만큼 기본적으로 양자 간 협의 채널을 가동해 문제 해결의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는 게 재계 입장이다.


그러나 현재 대응모습은 대통령과의 간담회를 비롯해 한국 기업이 정부·청와대 대응 과정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있어 일본 정부의 추가 규제 조치를 유발하는 등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게 재계의 우려다.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지난 주말 일부 대기업 총수와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 관련 대응 회동을 했을 때도 해당 기업들은 이 같은 걱정 때문에 기재부 측에 동선 노출을 철저히 비공개로 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을 상대로 소위 ‘튀는 발언’을 한 기업은 향후 대일본 비즈니스에서 유·무형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걱정을 떠안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일각에선 한일 외교 실패로 기업이 엉뚱한 불똥을 맞았다는 탄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