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가 13일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일본수출규제 관련 대응책이 마련됐냐는 질문에 52%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 홈페이지 캡처)

투데이코리아=김현호 기자 | 일본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절반 이상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 별도의 대응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3일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 회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52.0%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한 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별도의 준비를 하고 있다'(48%)고 답한 업체 중에서도 '약간 준비되어 있다'(20.7%), '부분적으로 준비돼 있다'(17.7%) 등 다소 준비가 부족한 경우가 38.4%에 달했다. '충분히 준비돼 있다'는 9.6%로 10곳 중 1곳 정도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은 일본 수입액이 연간 100달러(약 12억원) 이상인 △반도체 △화학 △섬유 △공작기계 △자동차 부품 제조업 관련 중소기업이다.

도 준비방안은 다소 소극적 대응방안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 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 15.3%, 기타(국산화 진행 등) 6.9%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현재 '부정적 영향을 느낀다'는 응답은 4곳 중 1곳(25.7%)으로 나타났다.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39.0%)과 '부정적 영향 없다'(35.3%)는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영향없다 32.7%) 나타났으며,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 36.3%, 4개월~1년이내 26.7%, 1년 이후 4.3%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무역갈등에 대해 우리 정부에 대응책으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44.7%)가 가장 높았고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21.0%) 순으로 조사됐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되어 왔다”면서 “앞으로 중앙회가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