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일본의 수출규제에 이어 한국이 지소미아 종료를 지난 22일 선언했다. 한일 양국간 갈등이 계속 심화돼 일본산 물품에 대한 반국민적 정서가 깊어지고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농산품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전 산업에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생산 쌀의 63%를 차지하는 일본계 벼 품종을 국내개발 품종으로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보급방안을 추진중이다. 경기도는 내년에 농가에 보급하는 정부 보급종자에서 일본 벼 품종을 줄이고 국산품종을 확대해 보급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올해부터 수매를 통해 농가에 보급하는 품종에서 ‘추청’과 ‘고시히카리’를 전년 대비 70톤 축소하고 대신 국산품종인 ‘삼광’과 ‘맛드림’ 종자 공급을 늘리는 방안이다.

정부는 2023년까지 국내에서 일본계 벼 품종 종자의 정부보급을 완전 중단할 계획임을 지난 달 23일 밝혔다.

하지만 우리 식탁에는 쌀을 생산하는 벼 말고도 한국산 품종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품목은 개량에 성공했지만 극히 일부며 이마저도 일본산 품종이 시장을 압도적으로 점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양파의 경우 시중에 나와 있는 품종은 거의 일본산이다. 우리나라에서 개발, 보급한 품종으로 재배한 양파는 5% 미만이다. 95%를 일본산에 의지하고 있다는 소리다.

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양파 종자는 지난 2014년 2만2941kg, 2015년 2만2747kg, 2016년 1만9514kg, 2017년 1만9576kg, 2018년 2만1917kg이 수입됐다.

양파 종자는 매해 100억원 어치가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국민 채소인 파, 양배추, 토마토 등을 합치면 난해에만 150억원어치 일본산 종자가 들어왔다.

또한 전국의 쌀 재배 면적의 10.3%가 고시히카리같은 일본품종이다. 브로콜리는 100% 일본산 품종을 이용해 제주도에서 생산중이다.

특히 귤은 일본산 없이는 생산이 불가능하다. 제주 생산 감귤류의 94%가 일본 품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품종인 흥진·궁천·일남1호·게토카·감평 등은 개발된 지 25년이 경과해 로열티를 내지 않아도 되지만 미하야·아수미 등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일본산 품종이 품종보호 심사 중인 만큼 한국 귤 시장이 일본산에 의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포도류 과일중 높은 당도로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샤인머스캣'도 일본 품종이다.

고기 등을 먹을 때와 찌개류에 많이 들어가는 팽이버섯도 일본 품종이 8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새송이버섯으로 익숙한 느타리버섯도 역시 일본 품종이 85% 점유하고 있다.

팽이버섯은 치쿠마쉬 등 3품종이 연간 80~90억 원의 로열티를 지급중이며, 새송이버섯 품종인 큰느타리2호 역시 로열티를 지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수산식품에서 일본 품종 없이는 자립이 불가능한 한국 농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만약 지소미아 종료와 관련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종자 수출을 거부한다는 추가 규제 조치를 펼친다면 당장 식탁에 올릴 식품이 없어질 것이다.

종자 업계 관계자는 "일본산 불매운동이 한국 식탁에까지 번지고 있지만 실효성을 따지면 절대 이뤄질수 없는 현실"이라며 "우리 나라의 경우 종자 기업들이 역사도 짧거니와 IMF 이후 대부분 국산 종자 기술을 뺏겨 이를 육성하려면 적어도 2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는 5년 전부터 추진한 '골든시드 프로젝트'를 확대해, 현재 28% 정도인 양파 종자 자급률을 내후년까지 50%까지 끌어올리는 등 국산화와 품종 개선에 노력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