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 전환 추진 일정(금융위 제공)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내년부터 개인신용등급제를 없애고 신용점수제로 전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문턱효과를 완화시킨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신용점수가 7등급 최상위인 664점은 사실상 6등급에 가깝지만 현행 평가체계상 등급제로는 7등급에 해당해 금융거래에 손해를 보지만, 만약 신용등급제가 사라지고 신용점수제로 바뀌면 좀 더 객관적인 신용평가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용 등급이 문턱에 걸려 신용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은 240만명으로 추정돼 신용점수제가 나온다면 금리가 대략 1%포인트 정도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을 전담팀을 출범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신용등급제를 적용하면서 1~10등급으로 나눠 운영했지만 이처럼 문턱 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점차적 신용점수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자체 신용위험평가 역량이 높은 5개의 시중은행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에 지난 1월부터 우선적으로 시범 적용했다. 시범 적용시 점수제와 등급제를 공동으로 운영해 왔다.

다만 점수제 도입 이후 점수별 대출 사례 부실률 분석 등이 필요해 아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보험과 금융투자, 여전 등 전 금융권 확대 적용은 내년 중반을 예상하고 있다.

점수제로 전환되면 등급에 따른 획일적 평가가 금융회사의 자체 신용위험 관리 역량에 따라 차별화되게 된다.

만약 신용점수 664점으로 7등급인 사람에 대해 A은행에선 대출을 거절했지만 리스크 관리에 자신이 있는 B은행은 6등급 정도의 신용도로 보고 대출을 내주는 식이다. 대출금리도 등급제보다 보다 세분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담팀에서는 내년 상반기 안으로 관련 제도 정비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완화, 신용점수 활용 기준 구체화 등 점수제 전환 세부방안을 논의 및 마련할 예정이다.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마련된 긍융관련 법령과 서민금융상품, 공공기관 업무규정 등 개정 방안 마련과 점수제로 전환 시 대출 승인여부 등 대출 거절에 대한 금융회사의 설명상 어려움 등을 보안할 계획이다. 또한 금융회사 자체 신용평가모형(CSS) 변경 등에 신용점수 활용 기준을 구체화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