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19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의 부자는 전년보다 4.4% 증가했다./KB금융그룹 제공
또 10억원 이상 금융자산이 넘는 부자는 1년새 1만3000명 늘어나 지난해 말 기준 32만3000명에 달했다. 이들의 총자산의 절반은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19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부자들은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 정도의 자산이 있어야 할까’라는 질문에 평균 67억원은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답변은 50억원(22.7%), 100억원(18.3%), 30억원(17.2%) 순으로 많았다. 20억원 미만을 선택한 부자는 12.0%에 불과했다. 이들 중 ‘지금 나는 부자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45.8%였다. 총자산이 많을수록 스스로 부자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부자 보고서는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 보유자 400명을 상대로 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2018년 한국의 부자는 전년 1만3000명보다 4.4% 늘어난 32만3000명이었다.지역으로는 서울(14만 5000명), 경기도(7만 1000명), 인천(1만명)이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부산(2만 4000명), 대구(1만 5000명), 경남(1만명) 순으로 많았다.서울 안에서는 46.6%가 서초·강남·송파구 등 ‘강남 3구’에 거주했다. 강북지역에 33.7%, 이들 3구를 제외한 강남 지역에 19.7%가 살았다.부자들 총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었다. 부동산자산 53.7%, 금융자산 39.9%의 비중으로 구성됐다. 나머지는 회원권, 예술품 등이었다.부동산 자산 비중은 이전부터 꾸준히 50%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금융자산 비중은 5년 만에 처음으로 40% 아래로 떨어졌다. 작년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반면, 주가는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올해 자산운용 계획에 대해서는 금융자산, 거주부동산, 기타자산에서 투자를 늘리겠다는 답변은 10% 이하였고, 투자를 유지하겠다는 답변이 대체적이었다. 경기둔화, 부동산 규제 등으로 부자들이 투자를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다만 거주외 부동산의 경우에는 투자를 늘리겠다는 비중이 21.5%로 높게 나타나 열기가 크게 사그라들진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거주외 부동산 투자처로는 50억원 이상 부자는'빌딩·상가(42.2%)'를, 50억원 미만 부자는 '일반아파트(29.3%)'를 가장 선호했다.한국부자보고서는 KB금융경영연구소가 한국 부자 현황과 라이프 스타일, 투자 행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자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올해 발간 9년차를 맞았다.
[김현호 기자 press@todaykorea.co.kr]
<저작권자ⓒ:: 투데이코리아 :: & www.todaykore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