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전문 업체 비앤알월드 윤지환 대표가 <투데이코리아>와 인터뷰를 가지고 사업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사진=유한일 기자)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산업으로 꼽히는 ‘드론’의 활용 영역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드론 시장은 연평균 17%씩 성장해 2017년 140억달러(약 16조7000억원)에서 오는 2022년 305억달러(약 36조7000억원)까지 몸집을 키울 전망이다.
우리 정부 역시 드론을 미래먹거리로 삼고 다양한 정책 지원, 규제 완화 등과 함께 드론 산업 규모를 오는 2026년까지 4조4000억원으로 신장하고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 사업용 드론 5만3000대 상용화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난 1일 <투데이코리아>와 인터뷰를 가진 드론 전문 업체 ‘비앤알월드(BnRWorld)’ 윤지환 대표는 드론의 장밋빛 전망에 대해 자신감 있게 설명했다. 윤 대표는 “드론이 아직 태동도 되지 않은 산업이지만, 발전하기 시작하면 혁명은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농업 현장에서 활약하는 드론...사람 대비 작업 효율 10배 이상

지난해 11월 만들어진 비앤알월드는 현재 항공방제, 항공방역, 항공정찰, 드론렌탈 등의 사업을 하고 있는 회사다. 윤 대표는 “어릴적 꿈이 파일럿이었지만 부모님이 모두 공무원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공직에 몸담게 됐다”며 “하지만 도저히 꿈을 포기하기 힘들어 나왔다. 나이가 있다보니 파일럿 준비를 하기는 힘들었고, 평소 관심이 있던 드론 관련 사업에 뛰어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앤알월드가 현재 가장 주력하고 있는 사업은 항공방제다. 방제 성수기인 6~8월 윤 대표는 바쁜 나날을 보냈다.

농업 현장에 드론을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효율이다. 드론은 농촌의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등에 대한 획기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윤 대표에 따르면 방제 면적 1만평 기준 드론으로 작업할 시 소요시간은 1시간 이내다. 반면 사람이 직접 작업하면 12시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비앤알월드는 단순히 사업 영역을 넓히기 보다는 회사 내실을 다지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 대표는 “항공방제라고 해서 무작정 비행 쪽에만 집중하지 않는다”며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농약에 대해서도 공부하고 있다. 현장에서 단순히 비행만 할 줄 아는 사업자는 시장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윤 대표는 올해 방제단을 구성, 내년까지 ‘실력 표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초보 방제사들의 실수를 방지하고자 A, B팀 각각 6명씩 선발해 농약 취급법, 드론 조종 기술, 방제 기술 등 노하우를 전수할 예정이다. 내년 6월 본격적인 방제시즌 전까지 실력 표준화를 마쳐 효율적인 방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 드론을 활용한 항공방제 모습. (사진=비앤알월드 제공)

◆ 활용범위 무궁무진하지만 아직 제한적...국산화도 과제

농업 현장에서의 드론 활용도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던 윤 대표는 “한국 여건 상 드론이 가장 뜰 수 밖에 없는 분야는 농업 지원”이라면서도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인 드론의 활용 영역이 아직 1차 산업인 농업 현장에서만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드론을 각종 산업에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가 실증 중이다. 미국 최대 유통기업 아마존은 지난 6월 미국 드론 택배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중국·호주·싱가포르 등에서도 제한적으로 드론 배송이 이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17년 우정사업본부가 전남 고흥에서 4km 떨어진 득량도에 드론을 활용한 소포 배송을 성공했지만 이후 뚜렷한 성과를 내진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이 좁고 비행 금지 구역이 많아 드론을 개발하고 비행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수요 창출에도 한계가 있다.

윤 대표는 “한국 사회 자체는 드론 산업이 발전하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산과 아파트가 많은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남북 관계에 따른 안보 문제가 버티고 있어 드론에 대한 규제가 심하다. 규제를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한 과제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국산화’다. 전세계적으로 드론 산업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우수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산 드론이 국내 시장을 점령하고 있는 현실이다. 국내 드론 시장은 중국산 부품 및 기술의 단순 조립, 또는 응용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업체 상당수가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윤 대표는 “방제용 드론의 경우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조립하는 것이 국내 생산 드론 대비 가격 측면에서 절반 수준”이라며 “성능은 똑같은데 중국산을 쓰는 이유는 가격 경쟁력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드론 국산화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SW)를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즉 플라이트 컨트롤러(Flight Controller·비행제어장치)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드론 FC의 대부분은 중국 업체 DJI사에 의존하며 공급받고 있다.

윤 대표는 “FC가 국산화된다면 가장 큰 장점은 드론의 ‘두뇌’를 갖게 되는 것”이라며 “모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빅데이터’인데, 남의 두뇌를 가지고 있으면 우리 기술이 그쪽으로 유출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핵심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안티드론이나 보안에 대해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의미다”라며 “우리는 IT(정보기술)에 대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니 FC 개발에 집중적으로 나선다면 중국을 앞지를 수 있다. 결국 우리 부품을 사용하면 향후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 독일의 볼로콥터 Gmbh가 개발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기 항공기. (사진=볼로콥터 홈페이지 캡쳐)

◆ “2023년 ‘드론 택시’ 상용화될 것”

특히 윤 대표는 인터뷰 말미에 오는 2023년까지 ‘드론 택시(에어 택시)’ 사업에 뛰어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두바이, 싱가포르 등에서는 이미 상용화 절차를 밟고 있다. 아파트가 많고 교통체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한 활용 가치와 경쟁력이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인공지능(AI)이 4차 산업혁명이 ‘두뇌’, 5G(5세대 이동통신)가 4차 산업혁명의 ‘혈관’이라는 비유가 나오는 것과 관련해 드론은 4차 산업혁명의 ‘다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드론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최상위가 될 수 있는 수단이라는 설명이다.

윤 대표는 “기체 안정성과 인프라 등 준비해야할 요인은 많지만 우리 사회 환경에 적합하고, 충분히 상용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며 “향후 드론 택시 시장의 ‘퍼스트 펭귄’이 되기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