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 참석해 2년 동안 20여 차례 화재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에 관한 질의에 답을 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김현호 기자 | 신재생에너지의 핵심인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화재 사고가 조사 결과 절반이 LG화학에서 재조한 제품으로 확인됐다.
또한 조사위는 특정 시기에 제조, 생산한 LG화학의 ESS가 문제가 있는 것을 파악했지만 그에 걸맞는 대책은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실과 이훈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일어난 ESS 화재를 분석한 결과 2017년 8월부터 발생한 ESS 화재 사고는 총 26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LG화학 배터리의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이훈 의원은 LG화학 배터리 화재와 관련된 제품이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라고 주장했다. 2018년 이후 생산된 제품의 경우 단 한 번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삼성SDI 제품의 화재 사고는 9건으로 조사됐고 나머지 3건은 인셀 등 군소업체 제품으로 나타났다.

이용주 무소속 의원은 "민관합동 ESS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내놓은 회의록을 보면 부실하기 짝이 없다. 정부와 사고조사위는 ESS 화재에 대한 발화원인을 미상으로 놓고 왜 불이 났는지 모른다고 결론을 내놓았다"며 "원인을 모르니 결국 대책도 못 세우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ESS 화재 사고 중 LG화학과 삼성SDI가 제조한 배터리가 88%를 차지하고 있고 LG화학이 특정 시기와 특정 공장에서 제조한 배터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며 "리콜의 의사가 있느냐"고 성윤모 산업통산자원부 장관에게 질문했다.

성 장관은 "ESS는 최종 제품이 아니라서 리콜의 대상이 아니다.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해 제조사가 판매한 배터리와 ESS에 대한 사후관리 한 것을 편리하게 리콜이라고 하신 듯하다”며 "법적인 의미의 리콜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성 장관은 "추가적인 화재를 막기 위해 산업부와 업체가 모두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일부 제품을 교체하거나 회수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성 장관은 "조사위원회는 ESS배터리 화재원인에 대해 배터리시스템 결함,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ESS 통합관리 체계부재 등 4가지로 유형으로 분류했다"며 "이에 대한 대안도 발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앞서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LG화학의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 그러나 5개월간의 조사 끝에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 요인'으로 지목하지는 않았다.
결함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해당 배터리 교체 작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LG화학의 해당 배터리를 쓴 ESS는 전국에 200곳 정도로 파악되며, 해외 설비까지 포함하면 교체 비용은 1,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LG화학은 “제품 결함을 숨기거나 교체를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서 동일한 이슈가 없도록 하는 것과 실사용자의 추가적인 피해를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발생한 화재의 경우 아직 원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남경산 배터리를 포함한 사이트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70%로 제한가동 중이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원인 규명활동은 정밀 실험 및 분석은 물론 사이트에서 보다 가혹한 환경에서의 시험까지 포함하여 올해 말을 시한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이 결과에 따라 필요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며, 만약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더라도 교체를 포함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