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가운데)와 의원들이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유튜브 노란딱지, 무엇이 문제인가' 전문가 간담회에서 보수 유튜버에 노란딱지를 붙이는 유튜브와 구글에 경고하는 의미로 노란딱지를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충호 기자 |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 업로더(유뷰버)에게 Google(구글) 사가 발부하는 ‘노란 딱지’의 모호한 검열 기준에 대해 국회의원이 고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이 24일 유튜브가 콘텐츠 약관 위반 시 붙이는 '노란 딱지'와 관련해 구글을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다.

이어 '노란 딱지' 발부와 관련해 정치적 편향성 의혹을 제기한 윤 의원은 "유튜브 내의 사업자와 관련된 사항이므로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 행위,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 등에 충분히 해당한다"라고 고발 이유를 설명했다.

이뿐 아니라 최근 ‘노란 딱지’를 발부받은 개인 유튜버들이 본인의 무고를 주장하는 사례가 다수 나왔다. 이들이 올린 '광고 수익이 10분의 1까지 줄었다', '유튜브 채널을 폐쇄할 수밖에 없다'의 내용을 담은 영상에는 ‘노란 딱지’ 발부 기준에 모호함을 지적한다.

7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마저도 하루아침에 수익이 0원으로 수렴하게 만들 수 있는 ‘노란 딱지’의 힘은 강력하다.

앞서 유튜브는 구독자 수가 1천명 이상이고, 최근 1년 동안 동영상 시청 시간이 4천 시간을 넘긴 이들에게 수익 창출을 신청할 기회를 부여한다. 하지만 ‘노란 딱지’를 받으면 영상 앞뒤로 붙는 광고의 종류가 제한되거나 붙지 않게 된다.

추천 영상에 해당 영상이 뜨는 횟수도 감소한다. 이에 유튜버는 자연스레 수익이 줄게 된다. 지난 2017년 8월 도입된 ‘노란 딱지’ 제도는 지난 6월 유튜브가 콘텐츠 품질 가이드라인을 강화하면서 더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또 유튜브 관계자는 ‘노란 딱지’를 두고 “정책을 위반하는 영상을 삭제하는 것뿐 아니라 문제가 될 여지가 있는 콘텐츠가 추천 동영상에 나타나는 것을 제한하는 시스템을 업데이트했다”며 “유튜브 광고주는 광고가 게재되는 플랫폼을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란 딱지를 많이 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해당 채널이 삭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덧붙였다.

하지만 ‘노란 딱지’가 편향성을 갖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현재까지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보면 온전히 "아니다"고 답할 수 없다.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에 따르면 ‘노란 딱지’ 적용 후보군을 1차로 추려내는 역할은 인공지능(AI)이 담당한다. AI가 빅데이터를 토대로 학습한 경험을 통해 문제가 되는 게시물을 먼저 걸러낸다는 것이다.

우선 ‘노란 딱지’는 특정 유튜브 게시물에 ▲유튜버가 주장하는 내용과 반대성향의 댓글이 많거나 ▲‘싫어요’를 많이 받는 경우 ▲대량의 신고가 쇄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구글코리아 측 역시 ‘노란 딱지’와 관련해 “정치적 편향성이 전혀 없다”는 답변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해당 게시물들은 다시 2차로 구글 직원이 최종 검토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한국어가 주를 이룬 영상은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직원이 판별한다. 이 작업은 한국이 아닌 국외에서 이뤄진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최종 판단에 관여하므로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셈이다. 알고리즘 체계로만 이뤄져 완전한 객관성이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최종 검토를 진행하기에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셈이다.

유튜버에게 ‘노란 딱지’의 핵심은 수익과 직결되는 광고의 게재 여부다. 하지만 광고를 제공해주고, 기업 유튜브의 이윤을 가져다주는 광고주의 입장 역시 중요하다.

광고주 입장에서 보면 유튜브에 대금까지 지불하며 광고했는데, 내용이 좋지 않은 영상에 본인의 광고가 올라가는 것을 원하는 광고주는 없을 것이다. 이상하거나 극단적인 영상에 붙은 광고는 효과가 반감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노란 딱지’는 유튜버에게 유튜브 영상의 자정 능력을 독려하면서 사기업으로써 유튜브가 광고주와의 타협점을 찾을 수 있는 경제적 조처인 만큼 필요하다.

한편 선정 기준 불투명성과 관련해서 유튜브 측은 “부적절한 콘텐츠를 찾아내기 위해 머신러닝 기술과 인력을 함께 활용해오고 있다”며 “개별 영상의 노란달러 부착 이유에 대해 하나하나 해명할 수 없지만 항소 절차를 통해 검토를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고 설명했다.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노란 딱지가 붙는지 알고리즘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