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 예타 통과

▲ 스마트팜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팜’ 연구개발(R&D)이 앞으로 날개를 달 전망이다. 관련 3개 부·청이 공동 기획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해 2021년부터 7년간 3867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로봇 등 과학기술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지능화된 시설농장’을 의미한다.

이번 사업은 스마트팜 융합·원천기술 개발·확산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축산업 구현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다. 지난해부터 3개 부·청이 공동 기획한 것으로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아 2021년부터 7년간 총 3867억원 규모의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스마트팜의 세대별 정의를 살펴보면 1세대는 현재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보급·확산되고 있는 모델로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시설의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농업인이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직접 원격 제어하는 수준의 자동화 시설이다.

2세대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초보적인 데이터 기반 모델이고, 3세대는 지능정보기술과 로봇, 신재생에너지 등 첨단기술 간 융합을 통한 완전 무인·자동화된 모델이다.

▲ 스마트팜-파밍-농업 간 개념 구분.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기존 스마트팜 연구개발이 농업 편의성 제고를 위한 1세대 스마트팜 개발에 집중한 것과 달리, 이번 사업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의사결정을 통해 저투입·고효율의 안정적 농축산물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팜을 구현하는 데 목표를 뒀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현행 스마트팜 기술 고도화 및 현장 실증 △자동화된 지능형 농장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 등 2개 내역 사업을 구성해 연구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과기정통부·농식품부·농진청은 3개 부·청 간 긴밀한 협조 하에 사업 추진 기반을 조속히 마련해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3개 부·청은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한 별도의 사업단 설립 절차에 조속히 착수해 사업단에 ‘범부처 스마트팜 R&D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할 계획이다.

또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데이터를 저장·분석·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에 조기 구축할 예정이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과 홍성진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한 세대 발전할 것”이라며 “청년들이 농업에서 매력을 느끼고 농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가 인식 대전환을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로봇, 에너지 등 기초·기반기술과 농업 간 가교역할을 충실히 해 우리 농업이 글로벌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