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우리 중소제조기업 10곳 중 9곳이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10곳 중 6곳은 4차 산업혁명의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과거 중앙회 조사와 비교해 개선되지 않았지만 디지털 전환의 체감은 과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는 중소기업은 36.3%에 불과했다. 2017년 10월 조사 당시는 39.5%였다.

조사 대상 기업 중 29.3%는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해 10.0%는 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답했다.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해 현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들에 대해 알고 있는 단계다.

응답기업의 16%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가 향후 활용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대응) 인력 부족(28.7%) △투자 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중소기업 중 12.7%가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부족하다’고 답한 22.7%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중앙회 정욱조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과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발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