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투데이코리아=편은지 기자 | 미래의 경쟁력으로 대두되며 국가차원에서도 ‘4차산업혁명’을 대비하는데 여념이 없는 가운데 사실상 국내 중소기업들은 이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대기업은 4차산업을 적절히 활용해 매년 ‘혁신적인 서비스’를 내세우지만 정작 국내 중소기업들은 4차산업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고 있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련 인식과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재 4차산업혁명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은 전체의 36%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인 64%는 ‘잘 모르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2017년 같은 조사 당시 39.5%가 ‘알고있는 편’이라고 답한 것과 비교해 올해 조사에선 36.6%로 3%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그러나 ‘최근 산업 디지털 전환을 체감한다’는 응답에 있어서는 지난 2017년 35.7%였던 것에서 43.0%로 증가했다. 4차산업혁명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현실의 변화는 체감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러한 실태는 제조현장의 대응현황에서도 드러난다. 4차산업혁명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단계인 ‘0단계’에 머무르는 기업이 63.7%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4차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을 아는 수준인 ‘1단계’는 25.0%에 그쳤다. 이어 사업 전략 구상에 반영하는 단계인 ‘2단계는’ 5.7%, 기술을 활용해 제조 스마트화를 시작하는 ‘3단계’는 5.0%, 제조 스마트화를 본격화 하는 ‘4단계’는 0.7%로 나타났다.

▲ (사진=중소기업중앙회)

또 2024년까지의 목표를 묻는 질문에는 2-3단계를 꼽은 기업이 대부분이었으나 19.7%는 여전히 ‘0단계’ 수준에 머물러있을 것이라 답했다. 다시 말해 이들은 지금도, 5년 뒤에도 4차산업을 조금도 알지 못할 것이라며 포기 상태에 접어들어 있었다.

국내 중소기업의 64%가 4차산업에 대해 잘 모르고, 기술을 활용해볼 시도조차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내 중소기업은 ‘전문 인력 부족(28.7%)’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4차산업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회사 내에 없다는 것이다. 이어 ‘투자효과 불확실’이 28.3%로 뒤를 이었으며 ‘자금부족(27.7%)’, ‘교육부족(19.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차산업에 대한 정부정책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이 없다’고 생각하는 기업이 72.0%나 됐다. 이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전략 부재'(14.3%), '모호한 정책 목표'(13.7%), '부처·기관 간 협력체계 미비'(12.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로 53.7%가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꼽았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이 없다’는 답변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이어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 혜택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과 시스템,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도 높게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은 4차산업에 대응할 생각은 있음에도 좀처럼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자금이 부족하고 전문 인력도 없을뿐더러 정부 정책마저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정부는 4차산업의 중요성을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이 4차산업에 따라오지 못해 도태된다면 국내 제조업 등의 위기에도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좀 더 세심한 정책과 교육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 인력, 투자 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