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자료사진.(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이 연평균 50% 이상 성장하며 몸집을 키우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AI 인재 경쟁력이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AI 인재 부족률은 60%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국내 인공지능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AI 인재 현황 및 육성 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AI 산업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을 기준(10)으로 중국, 일본,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각각 8.1, 5.0, 5.2로 평가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AI 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한다고 답했다. 부족 비율이 낮다고 응답한 일부 전문가들은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연구조직이 신설되고 있지만 현재 AI 기술에 기반한 사업 아이템이 많지 않고, 산업이 고도화되지 않아 얼마나 부족한 지에 대해 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이 89.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재직자 AI 교육’(70.5%),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AI 인력 확보에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을 꼽았다.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움’(25.5%),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등의 지적도 나와다.

아울러 한 산업계 전문가는 채용 시 기업이 요구하는 AI 기술 수준과 지원 인력과는 괴리가 있어 채용 후에도 재교육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또 전 세계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려운 점도 인력 확보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AI 인재 육성을 위한 개선과제로 ‘AI 교육 인프라 확대’(37.8%)가 가장 우선시돼야 한다고 답했다. AI 인재 육성은 장기간의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므로 초·중·고교와 학부에서도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의 약칭) 또는 AI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해 기초교육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데이터 활용규제, AI 전공 교수 겸직 제한 등 '기술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완화'(21.1%)와 'AI 기술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 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투자 확대'(13.3%)가 뒤를 이었다.

한경연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AI가 4차 산업 시대에 새로운 성장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해 산업계의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과 대학의 실무형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AI 교육 인프라를 확대하여 심각한 청년 실업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