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

투데이코리아=편은지 기자 | 정부가 올해 중소기업의 장비, 부품 국산화 등 기술개발 지원사업(R&D)에 1조 4885억 원 규모의 예산을 쏟는다. 중소기업 R&D(연구개발) 예산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20년 R&D 지원은 4차산업 혁명 분야 신산업 창출과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 자립을 위한 동력을 강화하고자 19년 대비 4141억 원 증액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하겠다고 6일 밝혔다. 이번 R&D 지원사업은 과거 출연·보조 방식에서 벗어난 투자 방식의 R&D 지원과 개별 기업이 아닌 기술 기반의 컨소시엄 형태 지원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R&D 수요 충족을 위해 2807억 원 규모 18개 지원사업을 신설했다.

특히 이번에는 4차산업혁명 신산업 분야에 연간 2000억 원 이상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우선 3대 신산업 분야인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 자동차에 연간 1000억 원 이상을 구분공모로 우선 지원하고, 4차산업혁명 3대 인프라 산업인 D.N.A(Date-Network-AI)는 전용 사업 3개에 총 267억 원을 신설해 지원한다.

중기부는 지난해부터 주력해왔던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국산화 및 기술 자립을 위해서도 전폭 지원에 나선다. 특히 소재‧부품‧장비분야 강소기업 100개사에 R&D를 우대해 지원키로 했다.

또 테크 브릿지(Tech-Bridge) 플랫폼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이전을 받은 중소기업에게 이전기술의 후속 상용화 R&D를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기술이전과 후속 양산 자금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R&D 지원 방식도 후불형 R&D가 새로 신설됐다. 후불형 R&D는 기존에 출연과 보조금을 먼저 지원했던 방식과 달리 R&D에 성공했을 때 투자비용과 인센티브를 직원하는 방식이다. 핵심기술이지만 범용성이 낮아 기술개발 수요가 적은 경우에 적용될 예정이다.

R&D지원방식에서 전략성도 강화한다. 각 중소기업의 R&D 목적과 기술역량에 맞게 성장주기에 따라 지원기간과 규모를 달리할 예정이다. 혁신역량의 ‘초기-도약-성숙’ 단계로 지원 구간을 나눠 기업의 역량이 커갈수록 지원 기간과 규모를 확대하는 구조다. 특히 1개 기업이 홀로 R&D 지원을 받는 경우 총 4회 지원 이후 졸업제를 통해 혁신이 정체된 기업이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사례를 차단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기부는 R&D 관련 기술 및 시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선별해 R&D 지원 전주기에 따른 빅데이터 DB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스마트 R&D 지원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