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수출입은행 등도 ‘잰걸음’…지나친 노조파워 확대엔 ‘경계감’

 
▲ 기업은행 윤종원 행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기업은행)


투데이코리아=송현섭 기자 | 기업은행이 윤종원 행장의 공식 취임과 함께 노조추천 사외이사제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행장은 앞서 정치권 낙하산으로 맹비난하며 27일간 행장의 출근을 저지했던 노조측과 노조추천 사외이사제 도입에 전격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기업은행은 관련제도 미비 등을 이유로 성급하게 서두르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도입계획 자체를 부인하진 않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코드를 맞춰 근로자추천 사외이사제 등 도입을 망설여왔던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역시 기업은행의 추진상황에 맞춰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서도 근로자 몫의 사외이사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유야 어떻든 기업은행에서 이번에 새로운 제도 도입의 물꼬를 텄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국책은행들부터 도입하면 곧 금융권 전체로 확산될 것”이라며 “당장 노조의 입김이 세져 다소 불안한 부분도 있겠지만 최고 경영진에 대한 적절한 견제와 균형으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기존 서울시 산하기관 등 극소수로만 국한됐던 노조추천 사외이사제가 확산돼 경영 투명성과 경영정책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해석된다.

 

과거 일부 기관장의 전횡으로 일어났던 잡음도 줄이고 근로자로서 대표성을 통해 조직 전체의 안정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반면 사외이사라고 하지만 경영진을 압박하는 노조의 입김이 커져 고유한 경영권을 침해하는 등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하고 있다.

 

한 노동계 전문가는 “노조의 추천이든 경영진 추천이든 이사의 역할은 서로 상치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며 “서울시 산하기관에서도 운영하고 있지만 소기의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최고 경영진 입장에서 경영권 침해로 내몰리거나 노조를 회유하는 쪽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며 “새로운 제도를 하나 도입한다고 근본적인 노사문제가 쉽게 해결되리라 기대하는 것은 핑크빛 환상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