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울산2공장 생산라인. (사진=뉴시스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영향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불가피하게 ‘조업중단’이라는 카드를 꺼낸 것과 관련해 자동차 업계 노동조합이 “무분별하게 생산공정을 해외로 이전한 결과가 업보처럼 돌아온 것”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GM 노조가 속해있는 전국금속노동조합(이하 금속노조)은 4일 논평을 내고 “신종 전염성 질환의 확산으로 인한 부품 수급의 불발은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이기는 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금속노조는 “우려했던 완성차 공장의 조업 중단이 결정됐다”며 “4일 현대자동차가 조업중단을 결정했으며 기아자동차, 한국GM, 르노삼성자동차도 조업중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쌍용자동차는 이보다 앞서 조업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 재벌·대기업은 소재·기술에 대한 투자와 국산화를 게을리했고, 비용감소라는 명분으로 국내의 생산공정을 마구잡이로 해외 이전했다”며 “그 결과 줄인다고 한 비용보다 더 거대한 손실을 마주하게 됐다. 완성차의 조업 중단은 관련 부품사의 동반 중단을 피할 수 없어 피해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여전히 진행형인 일본과의 통상분쟁에서 이미 드러났듯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통상의 무기화’라는 현상을 부추기고 있으며, 기후위기의 영향으로 대규모 전염병은 주기적으로 등장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부품, 자재에 대한 생산을 일부라도 국내로 돌리지 않으면 국민경제의 큰 축인 제조업은 반복해서 조업 중단 사태를 겪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미 해외생산 의존이 과도한 반도체 산업은 상상할 수 없는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금속노조는 “금속노조는 그동안 원하청 거래 관계의 정상화를 통해 부품산업이 생존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했다”며 “재벌·대기업도 전속계약이라는 틀로 부품산업을 옥죄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이 자립하고 국내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원하청 관계 정상화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어 “이를 통해 국내의 고용을 늘리고 예측할 수 없는 생산 중단의 위험에 대응하는 것이 진정한 경쟁력 강화의 길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중국에서 부품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오는 11일까지 모든 생산라인을 순차적으로 멈추기로 합의했다. 현대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배선 뭉치인 ‘와이어링 하니스’ 재고 소진으로 생산 중단 사태를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