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사진-삼성전자 제공)

투데이코리아=유한일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확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인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재창출에 나설 계획인데, 세계보건기구(WTO)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을 먼저 예측한 인공지능이 치료제 확보에서도 활약할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은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을 활용해 신속진단제, 기존 약물을 활용한 치료제 재창출 등 긴급대응연구를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는 과기정통부와 행안부가 협업해 예기치 못한 다양한 재난안전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을 활용,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 사업이다. 기존 연구개발이 과제 기획부터 착수까지 1~2년이 소요되는 것과 달리 기간을 대폭 단축해 문제발생 시 보다 신속한 연구개발 착수가 가능한 긴급대응연구체계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0일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최초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질본과 협의해 긴급현안 수요를 발굴했다.

이 중 시급히 연구개발이 필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신속진단제 개발 △인공지능 기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재창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해도 평가를 위한 바이러스 특성 연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지 역학 정보 및 자원 수집·제공 연구 등 4개 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면역학적 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진단검체 전처리, 항원 진단기술, 시약개발 및 임상학적 성능평가 등 방역 현장에서 보다 신속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돌입한다.

또 현재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치료제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을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속히 선별해 시급히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한 과제도 진행한다.

아울러 바이러스의 성장특성, 병원성·감염력, 항원성·면역력 등 고유 특성을 분석해 방역당국에 필요한 정보를 조기에 제공하고 감염환자의 처치 및 향후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과제도 추진한다.

국내·외 발생 지역(아시아 중심)의 감염 발생률 및 분포율을 분석·예측하고, 해외 바이러스 R&D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련 자원을 수집·제공해 방역당국의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과제 역시 진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오늘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를 개최해 4개 과제를 확정하고 공고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신속한 절차를 통해 2월 중 연구기관과 연구책임자를 선정해 과제에 착수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필요한 기술들을 신속히 개발하는 동시에, 질본 등 관련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현장에 공급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건강 모니터링 플랫폼 ‘블루닷’은 지난해 12월 3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소식을 최초로 전했다. WT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경고를 한 것은 1월 9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월 6일이다. 블루닷은 AI 주도 알고리즘을 사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감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