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피해를 입은 경기 북부와 인천 강화 지역 농가들이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1차 총궐기대회를 열고 조속한 재입식을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최한결 기자 | 지난해 하반기 돼지농가를 덮쳤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뒤 120일이 넘었지만 정부가 아직도 발생한 돼지농가의 재입식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ASF의 재발을 염려하는 입장이다. ASF의 피해로 경기 북부를 중심으로 파주와 연천, 김포, 인천 강화도까지 확산했고 총 14곳의 돼지농가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초강수까지 둔 정부는 농가에서 수매를 신청한 비육돈(5개월 이상 사육해 식용으로 출하 가능한 돼지)은 6만2772마리, 나머지 15만4154마리가 살처분 대상에 올랐다. 결국 30만8702마리의 사육 돼지가 ASF 방역을 위해 살처분됐다.

 

 

돼지농가 입장에서는 정확한 가이드 라인이나 방칙이 없다며 분노가 극에 치달아 재입식 로드맵을 제시하라는 입장이다.

 

 

특히 ASF 희생농가 총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1일 파주 통일동산을 시작으로 국회와 청와대로 제2차 총궐기대회 차량시위를 펼쳤고, 국회에서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준길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경기북부 및 강원북부의 양돈농가들이 ASF로 인해 돼지를 살처분한지 벌써 4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나가고 있다"며 "희생한 농가들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과 보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희생농가의 비상대책위원들과의 면담자리에서 지난 12월 초까지 재입식 기준에대한 발표를 하겠다"며 "하지만 벌써 2달이라는 기간이 지날때까지 농림부는 재입식에 대한 그 어떤 발표도 내어놓고 있지 않고 있다. 희생농가들은 일말의 희망없이 정부의 발표만 기다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례로 ASF 행동지침(SOP)에 따르면 ASF가 발생하지 않은 농가의 경우 이동제한이 해제가 된 일로 40일이 지난 시점에서 검역본부장의 자문을 얻어 재입식이 가능하다.

 

 

이동제한은 지난해 11월 21일 모두 해제 됐으나 재입식에대한 기준을 농식품부가 제시하지 않고 있자 분노가 극에 달한 것이다.

 

 

 

 

▲ 야생멧돼지 폐사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검출 현황 (농식품부 제공)

 

 

 

정부의 입장은 ASF의 재발을 염려하고 있다. 지난 7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야생멧돼지 ASF 확산 방지대책 국회토론회’에서 농식품부 이제용 구제역방역과장은 “야생멧돼지가 25%정도 감축되면 재입식을 고려해보겠다”며 “당장 기간은 말씀드릴 수 없다”고 답변했다.

 

환경부 최선두 야생동물질병관리팀장은 “야생멧돼지 때문에 불안감이 있을 수는 있지만 이러한 불안요소들을 보완한 결정을 할 것”이라며 “ASF의 남진, 동진을 막기 위해 야생멧돼지를 최대한 통제할 것이며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겠다”고 전했다.

 

 

이러한 답변은 민간인 통제 구역에서 지속적인 ASF 감염 야생멧돼지 폐사체들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기준 화전과 연천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야생 멧돼지 사체 6건이 추가되면서 국내 발견 폐사체만 183번째에 이르렀다. 이런 추세라면 200번째 폐사체 발견도 머지않아 보인다.

 

 

문제는 민통선 부분과 북한과 인접한 지역 대부분에서 발견이 된다는 점이다. 연천군과 파주시, 철권군, 화천군, 철원군 등 다양한 지역에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가 검출됐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ASF바이러스가 검출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늘어나는 이유는 북한 전역의 퍼졌다고 감안할 수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국정원은 북한에 ASF가 창궐했다고 보고한바 있고, 민통선 주변 북한 인접 지역에서 남하한 야생멧돼지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 정부에서는 정확한 ASF의 유입 경로를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ASF의 감염 경로를 정확히 밝혀내려면 최소 6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ASF 희생농가 총비상대책위원회는 ▲ASF의 국내 유입에 대한 정확한 경위 ▲농가의 단계별 재입식·전면재입식·부분입식 등의 로드맵 제시 ▲야생멧돼지 통제에 대한 농림부와 환경부의 로드맵을 제시 ▲환경부 야생멧돼지 발생 책임과 포횟 및 사살 즉각 시행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