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기업들은 구조조정·정리해고 등 구체화 수순 밟아

▲ 서울 여의도 증권가의 모습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송현섭 기자 | 정부가 공격적 재정·금융정책을 펼치며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한국경제에 빨간 등이 켜졌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의 코로나 지원대책에 따라 시중에 유동성이 대거 풀리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위축된 경기를 회복시키긴 역부족이란 전망이 줄줄이 나오고 있다. 국책·민간을 막론하고 경제연구소들은 당초 2%대였던 경제성장 전망치를 낮춰 올해 성장률을 마이너스 0.8% 정도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다소 낙관적인 전망치로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8년 마이너스 5.1%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경제규모 측면에서 사상 최대의 경제위기라는데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전세계적 팬데믹(대유행)으로 번진 코로나 사태가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우려로 대·중소기업을 막론하고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다는 데 있다. 금융권 일각에선 실질적으로 성장률이 마이너스 20%에 육박해 대공황 수준에 이를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도 내놓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6.7%로 급락하고 올해 3월 기준 미국의 실업률이 4.4%로 늘었다”며 “다소 비관적으로 본다면 한국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20%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정부의 100조 원대 기업지원 자금이 풀리고 한국은행의 양적완화와 국책은행의 특별 지원금융이 이뤄지고 있으나 일선 현장에선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 발행된 CP(기업어음)만이라도 중앙은행에서 매입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이 A1등급의 우량채 매입을 고집하면 타이밍을 놓쳐 더 큰 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황이 이쯤 되자 위기에 몰린 대부분 기업들이 구조조정과 정리해고 카드를 잇따라 꺼내 들고 있다. 굳이 두산중공업과 LCC(저가항공사)업계를 들지 않더라도 대기업들조차 매출 감소와 경기전망 불투명을 이유로 무급 휴직이나 정리해고에 나선다는 소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들의 경우 그동안 경기침체 장기화에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운영난에 봉착한 업체들이 많아 심각한 산업 붕괴현상까지 우려된다.

실제로 모 중견 수처리회사 임원은 “지난해 불황 장기화 때문에 매출실적이 전혀 없었고 올해 들어서 진행한 사업도 한두 건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며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리해고 등 독자생존을 위한 자구안을 조만간 마련해야 한다”면서 “처지가 비슷한 유관업계 역시 간신히 연명하고 있는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