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1%는 지난 2004년 8월 이후 3년 8개월만에 기록하는 4%대까지 상승하였다. 경기 성장률 역시 당초예상과 다른 저성장이 예상되고 있어 경제 충격이 클 전망이다.

뚜렷한 경기 둔화 조짐이 보도되는 가운데 물가의 가파른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다.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가계 살림은 더욱 빠듯해지게 되어 소비 감소로 인한 경기 둔화가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인하를 서둘러 바라고 있으나, 금통위로서도 쉽게 결정 내릴 수 없는 입장이다. 금리를 섣불리 내렸다가 경기효과는 주지 못 하면서 물가만 자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1%는 지난 2004년 8월 이후 3년 8개월만에 기록하는 4%대다.
급등하는 물가를 잡기위해 정부는 52개 주요 생필품 물가를 집중 관리하는 등 애를 썼지만,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율이 커 정부의 통제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4월 휘발유 소비자 판매가격은 전달에 견줘 0.9% 밖에 오르지 않았지만, 경유는 6%나 뛰었다. 이들 품목은 가계 소비지출에서의 비중과 물가지수를 산출할 때의 가중치도 높다. 전체 석유류값은 지난해에 견줘 18.7% 오르면서, 4월 물가상승률 4.1% 가운데 1.04%포인트나 끌어올렸다.

국내 서비스요금 등 다른 부문의 인상도 심상치 않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빼고 본 핵심물가지수가 전년 동월대비 3.5% 뛰었다. 이런 상승률은 2001년11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전체 개인서비스 물가는 3.1% 오르면서, 4월 물가상승률(4.1%)에서 1.45%포인트를 끌어올렸다. 특히 이·미용료, 목욕비, 학원비 등 개인서비스 요금이 계속 뛰고 있다. 원자재 상승의 영향을 덜 받는 이런 품목까지 물가가 크게 오르는 것은 물가상승 심리가 퍼지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섣부른 금리 인하가 물가를 더욱 자극할 위험이 있음을 예시하는 대목이다.

더 큰 문제는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쉽게 꺾이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소비자물가에 2~6개월 선행하는 생산자 물가지수는 연초부터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다. 즉 기업들로서는 가격 인상의 여지가 더 남아 있다는 뜻이다.

환율 역시 마찬가지이다. 지난해 4월 평균 원-달러 환율은 929원이었으나 올해 4월엔 986원으로 지난해보다 6% 넘게 뛰면서, 수입물가를 끌어올렸다. 환율이 오르면 물가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지난 2003~2004년 최중경 현 재정부 차관 주도로 환율 끌어올리기가 진행되던 무렵에도, 소비자 물가는 연 3.5%나 올랐다. 특히 2004년8월에는 4.8%나 뛰어오른 바 있다. 그런데 기획재정부는 수출 호조건 유지와 경상수지 방어를 위해 원-달러 환율이 더 올라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물가 상승은 가계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킨다. 이는 최근 일고 있는 소비위축을 더욱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실질소득를 보존하기 위해 올해 임금 인상률을 높고 노사간 갈등도 커질 수 있다. 정부는 다음 주에 열 예정이던 물가안정대책회의를 2일 오후긴급 소집해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경기부양과 수출, 물가 안정의 3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방안을 찾을 뾰족한 방법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아보인다.

전웅건 기자 k2prm@todaykorea.co.kr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