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희의 '신성일' 구명 호소와 정준호의 "땅 투자 돈벌었다" 논란 가열

올해 청룡영화상 진행자들이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한 부적절한 발언으로 시청자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지난 15일 저녁 서울 kbs홀에서 열린 제 27회 청룡영화상의 '옥의 티'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진행자들의 '무법천지' 발언이다.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공영방송 무대의 발언 수위를 훌쩍 넘어선 몇 몇 진행자들의 멘트가 시청자들의 얼굴을 찌푸리게 만든 것.

이번 영화상의 사회를 맡은 배우 정준호가 '인기스타상'에 선정된 '맨발의 기봉이'의 신현준을 인터뷰 하면서 내뱉은 발언이 그 첫째였다.

공적 무대에서 사적 발언으로 지적받은 정준호와 답변 중인 신현준
정준호는 "(신현준씨는)영화가 흥행돼 금전적으로 뿌듯한 한해였을 것이다. 그런데 투자를 엉뚱하게 한 바람에 올해 손해 많이 보셨다면서요? 어떻게 복구하실 생각인가요"라면서 공적인 자리에서 사적 발언을 서슴치 않았다.

그는 이어 "저는 땅 투자해서 좀 벌었다"는 발언을 덧붙여 가뜩이나 '부동산 투기'로 말 많았던 올 한해에 일조했음을 스스로 입증해 보였다.

신현준은 정준호의 이같은 예상치 못한 발언에 다소 당황한 기색을 보이며 적절한 응수로 맞받아 치지 못한 채, 수상 소감만 밝히고 무대를 떠났다.

이와 관련, 청룡영화상 홈페이지에 16일 오전 아이디 'pakker'로 의견을 게재한 한 시청자는 "아무리 강남 버그들이 판치고 좁은 나라에서 땅으로 재미보려는 속물들이 많은 게 사실이라지만, 요즘처럼 부동산으로 말 많은때 청룡영화제 사회를 보는 분이 그런 말을(할 수 있나).사생활이 그렇다고 비난하는 게 아니라 그런 말을 공중파 대중 앞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의식을 비난하는 것"이라고 따끔한 지적에 나섰다.

이와 함께 이번 영화상의 심사위원장이었던 원로배우 윤정희가 '최다관객상' 시상을 앞두고 호소한 발언에도 시청자들의 비난이 빗발쳤다.

청룡영화상 생방송에서 영화배우 출신 신성일 전 의원 구명 호소 발언으로 문제가 된 윤정희
이날 윤정희는 "시상식 이전에 여러분의 기도를 부탁한다. 제가 영화배우 신성일씨와 100회 촬영했다. 대구에서 2년 이상, 지금도 의정부 교도소에 있다. 내년에는 그분 고희와 결혼 50주년이다. 내년에 신성일 영화배우 회고전을 하기로 했다. 그때 대선배 신성일 영화배우가 참석해 주시길 여러분들께..."라면서 격앙되고 떨리는 목소리로 눈물을 흘리며 말을 잇지 못했다.

그러나 윤정희의 이같은 눈물 바람은 '원로 배우' 타이틀의 윤정희 마저 과연 원로 자격이 있는가라는 논란에 빠뜨렸다.

그도 그럴 것이 영화배우 출신 신성일 전 16대 의원은 지난 2003년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 광고로비 사건에 연루돼 '뇌물수수' 혐의로 5년 실형을 선고받고 집행중인 것.

엄연히 죄를 저질렀으면 그가 영화배우든 의원이든 그 누구든 간에 '법 안에 만인이 평등'해야 되는 건 당연지사.

공영방송에서 심사위원장으로 행한 윤정희의 논리 없는 무조건적인 구명 호소는 오히려 '직권 남용' 아니냐는 시청자들의 반감만 더한 꼴이 됐다.

굳이 윤정희가 나서지 않더라도 이미 지난 8일 여야 의원 187명이 신성일 전 의원의 가석방을 호소하는 탄원서를 법무부에 제출한 상태.

여야 의원들이 제출한 탄원서에 따라 신성일 전 의원이 한국영화계에 기여한 공로 부문을 높이 사고 70세 고령임을 감안하며 2년 남짓 복역한 점을 인정해 준다하더라도, 윤정희의 이날 발언은 적절치 못한 언사로 지목됐다.

청룡영화상 방영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6일 새벽 아이디 'heea98'로 글을 남긴 한 시청자는 "(신성일이)독립 투사도 아니고 뇌물받고 그 혐의로 교도소 있는 건데 (윤정희가)왜 눈물 흘리는지 이해가 잘 안된다"면서 "제가 도덕과 정의를 잘 못 배운건가요? 죄를 지으면 죄값을 치르는게 당연하다 배웠는데 오늘 TV를 보면서 의아했다. 유명인은 죄를 지어도 교도소에 가면 안된다는 말인지. 완전 개념 상실의 시대다"라고 윤정희의 발언을 직접적으로 꼬집었다.

이날 진행자로 나선 정준호와 윤정희 등의 발언을 지켜 본 다수 시청자들은 공인으로서의 특혜를 찾기 이전에 공인으로서 갖춰야 할 의무에 먼저 충실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공인이니만큼 '공'과 '사'를 구분해 달라는 뼈 있는 의견이 대세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