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 정보격차 지속적 완화

[투데이 코리아] 일반국민과 정보화 소외계층간의 정보격차 수준 측정지표인 정보격차지수를 조사한 결과 '05년 46.7점에서 '06년 38점으로 8.7점이 개선돼 범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격차해소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지난해 전국의 일반국민 및 정보화 소외계층(장애인·장노년층·저소득층·농어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6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에서 밝혀졌다.


이는 일반국민의 종합정보화 수준을 100%로 할 때, 정보화 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05년 일반국민의 53.3% 수준에서 '06년 62%수준으로 8.7%p 개선됐음을 의미한다.

특히 처음으로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를 시작한 '04년의 조사결과인 45% 수준과 비교하면 최근 3년간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개선됐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보격차 지수를 구성하는 정보통신기기의 접근성, 사용역량, 활용정도 등 각 부문별 정보격차 개선정도를 분석한 결과 접근성 부문은 농어촌 초고속망 구축확대 등을 통해 농어민 층에서 가장 많이 개선됐다.

사용역량 및 활용부문은 웹 접근성 제고와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등을 통해 장애인 층에서 가장 많은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05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각 부문의 정보격차가 크게 개선됐으나 접근부문이 일반국민의 80.2% 수준인 반면 역량(42.9%) 및 활용부문(49.2%)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개선된 정보통신기기 접근성을 기반으로 PC 활용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등 정보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추진이 더욱 강화돼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이번 실태조사에서 함께 실시한 정보화 소외계층 평균 인터넷 이용률 및 평균 가구별 컴퓨터 보유율은 각각 35.1% 및 60.1%로 나타나 '05년 조사결과인 29.4% 및 54.2% 보다 5.7%p, 5.9%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격차 지수는 일반국민과 정보화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현황을 나타내는 공식 통계로서 정보통신부와 14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수립해 추진하고 있는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06~'10)'의 정책성과측정과 정책방향 제시를 위한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2010년 까지는 일반국민의 80% 수준인 정보격차 지수 20점으로 감소시켜 나갈 계획이다.

정보통신부는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정보화 소외계층별 특성에 맞는 정보격차해소 추진방향을 도출하고 관계부처와 연계하여 정보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활용교육 및 PC 보급, 장애인 대상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실생활형 콘텐츠 개발․보급, IT봉사단 확대 운영 등을 통해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추진을 강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