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 내달 11일 한나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전대의 성격과 방식을 놓고 다양한 주장과 제안이 쏟아지고 있다.
`대권주자들의 대리전이 돼서는 안된다'는 원론적 주장과 함께 대선 후보 선출시기 및 방식 재검토, 당대표와 대선주자간 역할 조정 등 대선 관련 이슈가 광범위하게 제기되면서 대선주자간 `샅바싸움'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특히 이재오(李在五) 원내대표에 이어 오세훈(吳世勳) 서울시장, 김문수(金文洙) 경기지사 만들기에 성공하며 당의 `중심'으로 떠오른 소장파들이 외부영입론과 세대교체론을 거론하며 이번 전대에서 다시 한번 `파워'를 과시할 태세여서 주목된다.
가장 민감한 대목은 유력 대권 후보인 박근혜(朴槿惠) 대표와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 간의 대리전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리다.
양자간 대리전으로 굳어질 경우 어느 한쪽이 조기에 상처를 입게 되면서 당의 대권플랜에 차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소장개혁파의 리더격인 원희룡(元喜龍) 최고위원은 기회가 있을때마다 "과거처럼 대선 주자들의 대리전이나 줄세우기 경쟁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 소장파 의원모임인 수요모임은 7일 회동을 갖고 바람직한 전대방향에 대해 논의키로 했다. 수요모임은 조만간 당내 초선의원 모임 등과의 입장조율을 거친 뒤 전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중도성향 의원모임인 푸른모임도 9-10일 원주 문막에서 워크숍을 열어 전대 문제를 집중 논의한다.
소장개혁파들이 대리전 구도에 경계심을 보이는데는 다른 이유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장파는 물론이고 새 지도부에서도 얼마든지 새로운 대선주자가 나올 수 있는데 굳이 대선 후보군을 박-이-손 `빅3'로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
푸른모임 소속 임태희(任太熙) 의원이 당권.대권 분리규정을 폐지, 대선 후보군을 대폭 확대하자고 주장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는 분석이다.
대선 후보 선출과 관련한 문제도 이번 전대의 큰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명박 시장이 지난 2일 "대선일 6개월 전에 후보를 뽑는 것은 너무 빠르다"며 후보 선출시기 조정 필요성을 제기한데 이어 손 지사 측에서는 대선 후보 선거인단 구성방식에 문제를 제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선 후보 선출 문제는 지금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는 것이 손 지사 측의 공식 입장이지만 내부에서는 선거인단 구성비율중 신뢰성이 약한 여론조사 비율(20%)을 줄이고 일반국민 선거인단 비율(30%)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대선주자들에게 당무와 관련해 일정한 `역할'을 부여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대선주자들이 상임고문의 직책만 갖고 당무에 전혀 관여하지 않을 경우 언론에 등장하는 횟수가 그만큼 줄어들면서 `이미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일부 대선주자 진영에서는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2년으로 돼 있는 지도부의 임기를 단축하자는 주장도 편다. 대선 이후 낙선자들의 활동공간을 미리 마련해 놓을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전대 출마 예상자가 줄잡아 30여명에 달하는 가운데 물밑에서 전대 출마시의 당선 가능성과 패배시의 이해득실을 따지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목표를 당대표에서 원내대표로 수정하는가 하면 전대 출마를 포기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박 대표 측근인 김무성(金武星) 의원은 이번 전대가 `박-이 대리전'으로 비쳐지는 것을 꺼려 당대표에서 원내대표로 방향을 트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이재오(당대표)-김무성(원내대표)' 투톱체제가 가장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섣부른 분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