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110516_0004537830_web.jpg

▲16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상주 과학벨트위원회 부위원장 겸 입지평가위원장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위원회'에서 확정한 입지선정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투데이코리아=국희도 칼럼]과학비즈니스벨트가 대전 대덕단지로 가면서 한참 갈 것 같았던 지역 갈등이 사흘 만에 진정 국면으로 들어섰다.

어차피 대전 대덕단지가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최적 입지였음을 많은 전문가들이 알고 있었고, 또 그렇게 결론이 날 수밖에 없을 거라고 짐작했던 바이다. 대덕은 이번 평가지표 가운데 연구기반 구축 집적도 등에서 상대 후보지를 압도하는 높은 점수를 얻었고 이 점에 대해 이의를 다는 전문가도 없었다.

무엇보다도 5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혈세가 투입되는 국가 사업을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처럼 최고 통치자 마음대로 “어느 곳에 지으라”고 결정할 수 없는 시대인 만큼 이 정도의 혼란과 진통은 피할 수 없었을 것이라 본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역균형 발전 논리를 들이대기 전에 과학 발전을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때문에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를 나누지 않고 대덕에 함께 배치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을 대덕단지 25개 외에 대구·울산·포항에 10개, 광주에 5개를 배정한 것은 두고두고 문제점으로 작용할 듯하다.

거점지구에서 탈락한 지역의 반발을 무마하려고 정치적 결정을 하는 바람에 사실상 ‘삼각벨트’가 돼 버렸다는 비판이다. 그 때문에 실속도 없이 1조7000억원의 예산만 더 늘어나게 된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국제'라는 의미를 강조한 것도 외국의 우수한 과학자를 유치하고 발굴하겠다는 뜻임에도 연구단을 여기저기로 쪼갰고, 신흥대학이 대부분이어서 인재들이 안 올까 걱정된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선정 작업은 세종시 문제와 뒤얽히면서 늦어지기도 했지만 동남권 신공항,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시간을 질질 끌고, 투명하지 않게 일을 처리해 불신을 샀다는 점만은 짚고 넘어가야겠다.

어쨌든 정부는 ‘5중털’(5월 중순에 모두 턴다) 전략으로 3가지 골칫거리를 한꺼번에 해결했다. 다행스러운 것은 3가지 사안이 순리대로 결정이 났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일련의 지역 갈등 문제로 정부와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와 인기에 손상이 갔다고는 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시간이 흐르면서 질질 끌던 현안들을 모처럼 과감하게 털어낸 정부에 대한 신뢰는 올라갈 것이라고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