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신영호 기자] 정치권이 분주하다. 4월에 치러질 총선에 나갈 후보를 추려내기 위해서다. 여야 모두 깐깐한 공천 기준을 세우고 현미경 심사를 벼르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여의도에 불어닥친 안철수 바람이 틀에 박힌 적잖은 파장을 일으킨 것만은 틀림없다.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은 공천 심사를 통해 새 인물이 영입됐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인적 쇄신이 4월 총선 승패를 가르는 핵심 변수라고 본 것이다. 선거를 앞둔 여야의 입장을 이해 못할 바 아니지만 과거처럼 선거공학적 영입이 재현되는 분위기다. 이들을 영입해 어떤 정치를 펼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구상은 전무하다시피 하다는 점이 이런 의혹을 부추긴다. 거대한 명분만 있을 뿐, 이번에도 인적 쇄신이 어떤 정치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 자체가 된 것 같다는 느낌이다.

수단이 목적 그 자체가 됐다고 느껴지는 것은 공천을 받으려는 예비후보들에게서도 확인된다. 벌써부터 자신의 인맥을 동원해 공천심사 위원들과 접촉하려는 인사가 있고, 당 지도부가 내세우는 정책이나 특정 유력 정치인이 자주쓰는 단어를 앵무새처럼 따라하는 사람들이 있다. 동질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인데, 줄서기에 다름아니다. 이들에겐 공천을 받고 국회의원으로 당선돼 경력 세탁을 하는 게 중요하다. 이것을 통해 소신을 갖고 어떤 의정활동을 할지에 대해선 관심밖이다.

이런 상황에서 19대 국회가 꾸려진다고 해도 새로운 정치가 시작될 가능성은 제로다. 당 지도부는 소속 의원에게 당론에 따를 것을 압박하고, 소속의원들은 눈치만 보면서 소신은 저만치 던져버릴 것이다. 여야는 당론에 막혀 타협한번 제대로 못하고 민의의 전당인 국회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의 장으로 만들것이다. 그 결과는 제2의 홍정욱 의원 출현이며 '정치=쓸모없는 것'으로의 낙인이다.

정치권이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 공천에 담긴 가치와 철학을 좀더 가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고, 공천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결국 물갈이 아니냐'는 의혹이 재생산되는 것도 공천 과정이 철저한 보안속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공천 심사에 앞서 예비후보들에게서는 '국회의원이 된다면 헌법기관으로서 소신 정치를 펼칠 것을 선언한다'는 서약을 받는것도 검토해 볼만하다.
이와 함께 중앙당 독점 구조의 현재의 정당 조직 구조를 개혁할 추진기구 출범도 생각해봐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