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3만 명 시민 몰려 국조특위 정상화 촉구

[투데이코리아=강정욱 기자] 국정원 댓글 의혹과 관련된 여야의 공방전이 소강상태에 접어든 가운데 새로운 변수로 촛불집회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점차 늘어가는 촛불집회 참여 인원이 국정원 댓글 의혹 쟁점 해결에 주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 국조 특위가 지난 2일 해당 사안에 대해 한 브리핑이 국론 결집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날 브리핑에서 정청래 의원은 "여야 협상의 마지노선은 물리적으로 5일이 될 것 같다"며 밝혔다.

정 의원은 또 민주당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여야 지도부 사이에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 출석을 담보하는 '동행명령제' 합의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 대해 "언론 보도가 마치 동행명령장만 (여야간) 협의가 되면 저희가 요구했던 것의 전부인 양 보도되는 점이 심히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30일 당시 발표한 내용과 일점일획도 달라진 사항이 없다"고 했다.

정 의원은 "원 전 국정원장·김 전 청장·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권영세 주중대사(원판김세) 등 4명의 필수증인이 반드시 청문회장에 나와야 한다"며 "이들이 청문회에 나오지 않으면 빈껍데기 국조가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양당 간사간의 협상범위는 이제 넘어섰다. 지도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며 "결론적으로 말하면 상황변화도 없고 요구조건 변화도 없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기도 했다. 정 의원은 "새누리당이 이런저런 구차한 핑계를 대면서 원판김세 증인출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딱 한분 때문"이라며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이 엄중한 시국에 단 한마디도 하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어 매우 유감스럽고 무책임한 태도"라고 꼬집었다.

한편, 국정원 국조 기간연장에 대해선 "국조특위에서 논의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당 지도부에서 생각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렇게 국조 특위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국론 몰이에 나섰다.

이어 하루가 지난 3일 청계천 소라광장에서 제5차 국민촛불대회를 열은 것. 이날 촛불대회에는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정병헌 원내대표와 대부분의 민주당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략 3만여 명의 시민이 참여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6시에 시작된 촛불대회는 9시까지 3시간 동안 이어졌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대표의 연설을 필두로 신경민 의원, 통합진보장 이상규 의원, 진보정의당 박원석 의원 등이 연달아 연사로 나섰다.

박영선, 김현, 진선미 의원 등 여성의원 16명은 흰 셔츠에 청바지를 맞춰 입고 나와 '아침이슬'. '일어나', '상록수'를 열창하며 분위기를 띄웠고 도종환 의원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시를 낭독하기도 했다.

민주닫 김 대표는 이날 인사말에서 “박 대통령은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국민과 국회에 의한 국정원 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국민 앞에 천명해야 한다”며 “박 대통령에게 회담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부끄러움이 없다면 남재준 국정원장을 해임하고 국조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경민 민주당 국정조사 위원은 이 자리에서 "민주당이 하루라도 국정조사 더 하려고 발버둥 쳤지만 딱 이틀 했다"며 "그것도 입에 지퍼 단 오만방자한 증인들 앞세운 국정조사였다"고 한탄했다.

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은 "대통령이 떳떳하다면 새누리당은 비협조로 나올 이유가 없다"며 "새누리당은 국정조사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과거 봉건시대의 군주들은 정쟁과 거리를 두고 고고하게 선정을 베푸는 것이 미덕으로 여겼다"며 "현재 민주주의 권력자는 군림하는 것이 아니고 국민과 소통하는 것 아니냐, 박 대통령은 궁중 궁궐의 이상한 나라의 여왕"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휴가에서 '해변의 여인' 코스프레하거나 아버지 흉내내지 말고 국민 앞에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하라"고 박 대통령을 향해 외쳤다.

이렇게 뜨거웠던 촛불대회의 힘에 힘입어 국조 특위가 정상화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