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사상 최대 1억 명이 넘는 금융 개인정보가 대량 유출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해당 카드사들은 공개 사과와 사태 수습에 나섰고 금융당국은 '영업정지' 까지 검토하는 등 일벌백계에 나설 방침이라고는 하나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두고 볼 일이다.

그동안 유출된 개인정보는 KB국민카드가 약 5300만건으로 가장 많았고, 롯데카드 2600만건, NH농협카드 2500만건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 정보들이 대출모집인에게까지 판매된 것으로 드러나 피해는 더 확산될 전망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사태 진화에 서두르는 모습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위법 사항에 대해서는 일벌백계 차원에서 관련 법규에 따라 엄중 제재할 것"이라며 공동대응안을 내놓았다.

검찰은 수사결과를 발표하기 전 카드사들은 저마다 자사의 보안수준이 타사에 비해 우수하다면서 어떻게 고객정보가 유출됐는지 모르겠다고 입을 모아 항변했다.

그러나 검찰 수사결과 피의자는 지난해 2012년 5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각 카드회사들에 파견돼 FDS프로젝트 고나련 프로그램 개발 용역 작업 수행을 위해 각 회사 전산망에 접근하여 USB에 고객정보 1억여건을 복사해 빼돌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그동안 카드사들이 수수료에만 급급했지 고객을 위한 보안시스템 제고에는 등안시한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지난 2011년 고객정보 175만건이 유출돼 사회적 파장을 낳은 현대캐피탈 사례나 최근 삼성카드와 하나SK카드 고객정보 유출 사건 등에서도 누누이 지적돼 온 문제들이다.

검찰은 중간 수사 결과 유출된 개인 정보에는 회원의 성명, 휴대전화번호, 직장명, 주소를 포함해 신용카드 사용 등과 관련된 신용 정보 일부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자체 점검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금융회사에 대해서도 고객정보 관리 실태를 전면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정보유출 감시센터를 설치해 유출된 정보의 불법 유통 사례도 접수할 방침이다.

내부자에 의한 정보유출, 금융권 개인정보 유출은 어제오늘 사고가 아니다. 내부자에 의한 사상 최대 금융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만큼 유사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권의 개인정보 위탁, 처리시 보다 강력한 체제 도입 및 감시체계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활용해 막대한 이익을 챙기는 카드사의 과징금 같은 솜방망이 처벌로 끝내선 안된다. 해당 업체들의 CEO에게도 엄중한 책임을 물어서라도 개인정보 유출 악순환의 고리는 반드시 끊어내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