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작년말 기준 1000조원을 돌파했다. 국민 1인당 2033만원씩 빚진 꼴이다.

가계 빚이 10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사상 처음으로 지난 2004년 말 494조원이었던 가계부채가 약 9년만에 두 배 이상으로 뛴 셈이다.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가 방치될 경우 소비시장은 크게 위축되고 금융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부동산대책이 나온 지난해 4분기에만 28조원이나 폭증했다. 빚 총량이 늘어나는 것보다 더욱 큰 문제는 질적 악화다.

또한 비은행권 금융기관에서 빌린 고금리 가계빚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로 인해 우리경제는 언제라도 빚의 블랙홀로 빠질 수 있다.

가계부채는 경기침체 속에 생활고를 겪는 서민들의 삶은 대변하지만 정부의 책임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정부는 현재의 가계부채가 총량은 늘었지만 증가 속도가 떨어지고 있어 금융시스템 전체로 확산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한 듯하다.

그래서 고정 금리와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2017년까지 대폭 늘려 가계부채 비율을 5%포인트 낮춘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하지만 시장이 변동금리로 움직이는데 고정금리로 압박하면 무리가 따를 것이라는 등 여기저기서 부정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가 조 단위의 세 자릿수에서 네 자릿수가 된 것은 경제의 건강 상태에 대한 심각한 경고다.

가계부채가 이처럼 급증하면서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 빚더미에 눌린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생활고는 물론 내수 회복에도 어려움을 줄 것으로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만약 앞으로도 경제회복이 미미하고 가계소득이 제자리걸음에서 못 벗어나면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

지금이라두 가계 빚이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정부와 금융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해법마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