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영훈 기자]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그림 연 2.0%에서 연 1.75%로 인하해 사상 첫 기준금리 1%대 시대가 열렸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0.25% 포인트씩 금리를 인하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다시 0.25%포인트 내린 것이다.

1%대 기준금리가 사상 최초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이 그만큼 어렵다.

현재 한국 경제는 생산과 투자, 소비자가 부진한 '트리플 쇼크'에 빠져 있다. 또한 마이너스 물가로 인한 디플레이션 우려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은이 이런저런 우려가 나오는데도 기준금리를 내린 것은 대내외 경제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성장세가 당초 전망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상승률도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돼" 이런 결정을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산업생산이 올 1월 들어 전달보다 1.7% 줄고, 소비가 3.1% 감소했다.

또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상승률이 0.5%로 낮아져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물가 하락이 경제활동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 즉 디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게 엄연한 한국 경제 현실이다.

이번 금리 인하로 인한 부작용은 구체적으로 가계 부채다. 1100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숫자에 도달한 가계 부채는 이번 금리 인하로 또다시 급증할 가능성이 컸다.

정부는 부채의 70%를 소득수준이 높은 가계에서 빌리고 있기 때문에 크게 적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한다. 그래도 마냥 손놓고 있어선 안 된다.

이미 1100조원에 이른 가계부채가 더 늘어나지 않도록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정부 당국과 적극적으로 머리를 맞대고 금융 안정을 위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 밖에도 부작용으로는 부동산 거품 촉발, 월세 전환 촉진과 전세난 심화, 금융권 수익 악화 등이 우려된다.

올해는 금융권만 아니라 정치권도 경제살리기에 동참해 금리 인하로 인한 효과는 극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하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경제 회생에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올해가 경제 재도약의 골든타임이라고 외친 지도 어느덧 두 달이 넘었다. 저금리 정책에도 경기를 살리지 못한다면 우리 경제는 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